로컬실록지리지

문제해결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부산은 해산물이 풍부하고 다양한 먹거리가 있지만 부산을 대표하는 상징적 음식이 아직 부족하다.

부연설명

부산의 고등어 생산량은 2025년 1분기 기준 3만 4362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62.5% 증가했다. 전국 고등어 생산량의 약 80%가 부산에서 위판된다.
부산의 시어인 고등어로 부산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메뉴 개발이 필요하다.

위치

49255

부산 서구 충무대로 202 (남부민동, 부산공동어시장) 공동어시장

구성원
  • 팀명

    밥심크루

  • 팀장

    배영옥

  • 팀원

    박경화,배성자,김진희,윤미순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부산은 고등어, 멸치, 다시마, 대파 등 특산물이 많지만 신선 식재료 차원에서 소비되고 지역상징 음식으로 가공 및 브랜딩이 약하다.

근거2

젊은 세대의 생선 소비 감소, 조리 번거로움 때문에 가정 내 국민 생선 고등어 소비수요가 감소하고 있다. 젊은층 타겟 신메뉴 개발과 가정에서 먹을 수 있는 간편식 개발이 필요하다.

근거3

고등어의 산지 가격과 소비자 가격은 2배 이상 차이가 난다. 신선한 고등어를 공급받기 쉬운 부산 지역 특성을 살려 부산=고등어라는 이미지 마케팅이 필요하다.

근거4

수입 냉동 고등어가 밀려오고 있다. 노르웨이산 수입이 급증하면서 국민 생선이자 부산 시어인 고등어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