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광주-지산유원지, 노후화된 시설과 미흡한 시설 관리로 인한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부연설명

광주-지산유원지의 노후화와 미흡한 시설관리로 인한 관람객의 편의와 안전을 위한 시급한 대처가 필요하다.

1978년도에 개장한 광주-지산유원지는 당시 광주시민뿐 아니라 광주를 찾아온 관광객도 반드시 방문할 만큼 광주의 대표적인 관광지였다. 그러나 1994년 부도로 인하여 유원지의 기능을 잃고 현재, 노후화된 시설과 관광 추세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여 광주광역시 지자체와 시민들의 골치를 앓고 있다.

지산유원지 리프트카/모노레일은 추락사고와 배터리 불량으로 인한 정지 사고 등 여러 차례 사고가 발생하였고 운영업체에 대한 행정 차원의 조치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안전에 대한 우려와 시민들의 민원이 지속되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유원지 옆에 위치한 저수지와 인근 시설물은 관리되지 않아 잡초가 무성하고 주변에는 쓰레기들이 버려져 있다. 이는 화재 시 산불로 번질 위험이 크다. 또한, 저수지 진입을 저지하는 안전 조치 또한 미흡한 상태이다.

그 밖에도 무등산 팔각정 인근 시민들이 산책 코스로 사용되는 통행로도 관리가 되지 않고 있다. 나무 데크길 곳곳이 틈이 벌어지거나 구멍이 나 있어 잘못할 경우 발이 빠지거나 걸려 넘어질 수 있는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위치

61447

광주 동구 지산동 산 63-1 무등산 지산유원지

구성원
  • 팀명

    광영 (Gwangju local Heros)

  • 팀장

    김범도

  • 팀원

    묵성준 김효린 조예린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 지산유원지 모노레일 멈춤 사고>
2023년 3월, 모노레일은 내린 후 팔각정 인근에서 낙상사고를 당해 안면부의 열상을 입었다.
같은 해 11월 탑승객 11명을 태운 모노레일이 높이 5m 경사로에서 멈췄다. 모노레일은 2시간 넘는 시간 동안 가량 멈췄었고 탑승객은 멈춰있는 시간동안 모노레일에서 구조를 기다려야 했다. 사고 원인은 모노레인 충전 누락으로 인한 미흡한 배터리 충전이었다.

근거2

<지산유원지 모노레일에 대한 끊이지 않는 안전 관련 민원>
2024년 광주 동구의회 제 314회 2차 정례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지산유원지 모노레일에 대한 안전 관련 불편 민원이 이어지고 있다.” 라고 밝혔다.
당시 지난해(23년) 4건 포함, 당해(24년) 3건의 민원이 발생하였고 민간합동 안전점검을 실시했음에도 안전에 대한 민원이 끊이지 않음을 알렸다.

근거3

<노후 시설로 인한 산책로 안전 문제>
지산유원지 주변 산책로 역시 안전 문제에서 자유롭지 않다. 무등산 자락의 산책로에서 난간이 무너져 인명사고가 발생하거나, 낡은 나무 데크가 파손되어 보행자 안전을 위협하는 사례가 보도된 바 있습니다. 이는 유원지뿐만 아니라 인근 시설물의 전반적인 관리 소홀을 보여주는 근거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