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최근 강원 동해안 해변과 해안가에서 쓰레기 발생과 적치량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관광객의 안전·미관 저해와 해양 생태계 피해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여름철 성수기와 태풍·집중호우 이후에는 해양 쓰레기 유입이 급증해 지역 주민과 어민, 관광업계의 피해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부연설명

● 강릉·속초 등 유명 해수욕장은 매년 수 십만 명의 관광객이 찾는 지역이지만, 해변에 방치된 플라스틱·유리·금속 파편 등이 관광객에게 직접적 피해를 주고 지역 이미지까지 손상 시킵니다. 결국 이는 관광객 감소로 이어져 지역 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 강원도 동해안은 연안 어업과 수산 자원이 중요한 지역인데, 바닷가에 적치된 쓰레기와 유입된 미세 플라스틱이 어패류 품질과 번식에 영향을 미쳐 장기적으로 어민들의 소득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태풍·집중호우 이후에는 내륙에서 유입된 생활·공사 폐기물이 한꺼번에 해안에 떠밀려 오는데, 이를 처리하기 위해 지방 정부는 긴급 수거 작업을 벌여야 하고, 어민들은 조업 중 손실과 어구 파손을 감수해야 합니다. 이러한 구조적 문제는 지역 경제 전반의 부담을 키웁니다.

위치

25460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문동 258-4 경포 및 인근 해변 일대

구성원
  • 팀명

    옥수스마일

  • 팀장

    안현준

  • 팀원

    이준영, 나지윤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해양 생태계 파괴
해양 쓰레기가 태풍·집중호우 후 강원 동해안 해변에 대량 유입되어 쌓이게 되는데, 해양 쓰레기 중 상당수는 플라스틱으로, 조류·어류·해양 포유류가 이를 먹이로 오인해 섭취·질식하거나 서식지가 훼손됩니다.
이것들이 반복되다 보면 어민 조업난 및 수질 오염 문제 발생하게 됩니다.

근거2

관광객 안전 및 이미지 훼손
해변의 쓰레기는 해수욕객이 발을 다치거나 감염 병에 노출될 위험을 높이고, 해수욕장 환경·위생 평가에서 점수를 떨어뜨립니다.
많은 인파가 몰리는 대형 해수욕장의 경우, 넘쳐 나는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관광지 이미지 훼손'에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근거3

지자체 및 어민의 비용 부담 증가
해양·연안 쓰레기를 수거·처리하는 데 매년 많은 규모의 예산이 사용되며, 어민들은 어구에 쓰레기가 걸리거나 어장을 청소하느라 직접적 비용과 노동력을 부담합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