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최근 강릉시는 기록적인 가뭄과 기온 상승으로 인해 상수원 저수율 급락, 공급원 의존성, 제한급수 시행 등 물 부족 사태가 심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주민 생활 피해·관광업 타격·농업·생태 영향 등이 크게 우려되고 있습니다.
또한 단발적인 상황일 뿐이라고 보기에는 구조적인 요인과, 지속적인 기온 상승으로 인해 이후로도 다시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부연설명

● 기후 변화 + 기상 이상 현상의 증대
강릉의 경우 올여름과 최근 몇 년간 ‘폭염’, ‘장마 기간의 단축’, ‘강수 일수의 감소’ 등 기상 이상이 잦아지면서 지속적인 강수 부족 상태가 이어졌습니다. 이는 기후 변화로 인한 영향으로 해석되며, 이러한 변화가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저수지 중심 공급의 취약성
오봉 저수지 등 주요 저수지의 저수율 하락은 상수원 공급의 안정성 문제를 드러냅니다. 저수율이 10~20% 이하로 내려가면 제한 급수, 운반 급수, 주민 생활 피해 등이 불가피해지며, 대체 수원과의 연계가 미비하면 위기가 증폭됩니다.

● 수요 증가 + 주민·산업·관광의 부담 증가
폭염과 관광객 증가 등의 요인이 물 수요를 증가 시키는 반면, 공급은 부족하고 저장 여유는 없음. 여름철 피서객 등이 몰릴 때 물 수요가 평소보다 더 많이 늘어남으로써, 상수도 사용·농업용수·관광 관련 수요 조절 등의 어려움이 생깁니다. 또한 주민 생활 중 필수적이거나 공적 기능(병원, 위생, 숙박업 등)의 물 공급이 제한될 수 있음.

● 대응의 시급성과 구조적 개선 필요성
단기 대책(제한 급수, 비상 물 운반, 임시 방류 등)만으로는 부족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상수원 다변화, 지하수 저류댐 또는 소수저수지 확보, 누수 감소, 물 사용 합리화, 인프라 개선, 기후 예측 및 물 수요 관리 체계 구축 등이 필요함이 분명합니다. 출처들의 기사에서도 이러한 대응책 마련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음.

위치

25639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왕산면 도마리 141 오봉저수지

구성원
  • 팀명

    옥수스마일

  • 팀장

    안현준

  • 팀원

    이준영, 나지윤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8월 말 기준 약 15% 수준으로 떨어짐. 생활용수 공급이 위험 수준임.
또한 강원 영동 지역, 특히 강릉 등은 이번 여름철 강수량 및 강수일수가 역대 최저 수준. 평년 대비 강수량이 매우 부족함.

근거2

수자원 의존 구조 문제: 강릉시는 상수원 다변화 부족, 오봉저수지 등 일부 저수지 및 상수원에 너무 의존하고 있음. 또 도암댐 물을 일부 활용하기로 했으나 수질·인프라 문제로 제약 있음.

근거3

여름철 폭염 일수 및 열대야 일수가 많아지면서 수분 증발 증가, 주민 체감 더위 상승 등으로 물 수요 증가 및 저장 손실도 커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