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대구•경북은 '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 중이며, 향후 돌봄•안전•이동 등 노인 맞춤형 서비스 수요가 급증한다.

부연설명

통계청•행안부 기반 지표에서 65세 이상 비중이 지속 상승 중이다. 대구•경북 고령자 통계에서도 노년부양비가 장기적으로 크게 늘 것으로 전망되어, 지역 공공서비스•교통•안전 분야 준비가 시급하다.

위치

36759

경북 안동시 풍천면 도청대로 455 (갈전리, 경상북도청) 경상북도청

구성원
  • 팀명

    일희일비 ver1

  • 팀장

    조은경

  • 팀원

    김가현, 이다연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통계청 e-지방지표(행안부 주민등록인구 기반) ' 고령인구비율' 지표: 65세 이상 인구 비중 지속 상

근거2

⌜2020 대구•경북 고령자통계⌟: 대구 65 + 비중 16.0%, 경북 20.7%
2045년 예상 노년부양비 대구 73.4, 경북 91.5 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임

근거3

영남일보: 대구•경북 모두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초고령사회(20% 이상) 기준을 넘겼거나 임박함.

근거4

매일신문: 2024년 시/도별 노령화지수에서 대구 197.5, 경북 259.2 (유소년 100명당 65세 이상 인구수)로, 고령 구조 심화를 지역 단위 지표로 확인 가능함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