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독거•초고령층 증가로 '응급 대응•치안' 취약성이 커져, 노인 대상 '안심 이동/안전 서비스 (예: 안심택시+응급연동)'가 필요하다.

부연설명

대구시는 '독거노인•장애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장비 확산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고령층의 디지털 접근성•활용 격차로, 앱•단말 중심 안전체계의 실제 이용률이 낮을 수 있다. 오프라인 접근성, 쉬운 사용성, 이동수단 연계(SOS/112•119 알림)등 통합형 모델이 요구된다.

위치

41911

대구 중구 공평로 88 (동인동1가, 대구광역시 동인청사) 대구광역시청

구성원
  • 팀명

    일희일비 ver1

  • 팀장

    조은경

  • 팀원

    김가현, 이다연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대구시 '독거노인•장애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 확대 추진 (집중 신청 기간 운영)

근거2

보건복지부 ⌜2023년 노인실태조사⌟: 스마트폰 보유는 늘었으나, 세부 계층(초고령)에서 활용•접근 격차가 크다.

안전 장비•앱 중심 접근은 '기기 보유/인터넷/역량'이 전제되어야 한다 -> 이동수단과의 오프라인 + 원스톱 연계가 필요하다.

근거3

KIHASA 보건복지포럼 (2024.11) : 노인가구 인터넷 이용 가능 46.5%, 85세 이상 21.6%
85세 이상 스마트폰 보유 35.7% -> 디지털 안전•신고 체계 이용의 잠재적인 제약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