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대구•경북 고령층은 '디지털 접근•활용'에서 구조적 격차가 크며, 필수 공공•금융•교통서비스의 '디지털 전환'에 취약하다.

부연설명

전국 노인실태조사에서 스마트폰 보유는 늘었지만, (특히 초고령층) 인터넷•PC 보유 및 실제 활용은 매우 제한적이다. 실제로 85세 이상은 스마트폰•인터넷 이용 가능 비율이 낮아, 온라인 기반 공공•금융•교통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크다.

위치

36759

경북 안동시 풍천면 도청대로 455 (갈전리, 경상북도청) 경북도청

구성원
  • 팀명

    일희일비 ver1

  • 팀장

    조은경

  • 팀원

    김가현, 이다연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보건복지부 ⌜2023년 노인실태조사 결과⌟: 스마트폰 보유율은 증가했으나, 고령층 내 기기•역량 격차는 여전하다.

근거2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24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결과⌟: 고령층이 4대 정보취약계층 중 디지털정보화 수준이 최저로 확인되었다. (접근/활용/역량 종합 수치)

근거3

고령층의 디지털 격차 해소 속도가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는 속도에 미치지 못하여 디지털 사회에 적응하지 못한느 고령층 삶의 질은 떨어질 수 밖에 없다.

근거4

디지털 환경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어르신의 눈높이에 맞춘 복지 사업/정책이 필요하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