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울산은 도시 기능, 문화 및 사회서비스 인프라가 부족하여 삶의 질과 정주여건이 떨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인구 유출 및 지역 사회 구성원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부연설명

울산은 산업 인프라와 제조업 중심의 구조는 잘 발달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 문화, 복지, 전기차 충전, 공공시설 등 주민 생활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사회 인프라 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부분이 많다. 이러한 인프라 부족은 특히 외곽 지역 주민, 청년층 혹은 가족 단위 주민들에게 체감되는 불편으로 이어지며, 도시 경쟁력 약화 및 인구 이탈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위치

44675

울산 남구 중앙로 201 (신정동, 울산광역시청) 울산광역시청

구성원
  • 팀명

    헥사곤

  • 팀장

    이느하

  • 팀원

    류다연, 김기수, 장민휘, 하승갑

해시태그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어린이를 위한 문화 인프라 부족]
울산은 타 시도에 비해 아이들을 위한 문화시설 및 기반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라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어린이 복합 문화공간, 청소년 도서관 등 공공 문화 및 교육 시설 확충의 필요성이 언급되었다.

근거2

[교육 인프라 부족]
울산 북구청장은 "교육 인프라 부족...단과대학 형태 공동캠퍼트 유치도 검토"라는 발언을 하였다. 이는 대학 혹은 전문 학습 시설 같은 교육 인프라가 충분하지 않다는 인식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근거3

[전기차 충전 인프라 격차]
울주군은 전기차 등록 대수는 많지만, 등록 차량 대비 충전소 비율이 가장 낮음 (약 49.7%)으로 나타났다. 외곽지역을 중심으로 전기차 충전시설 부재가 심각하여 전기차 보급 및 이용에 제약이 되고 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