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고흥 유자박은 '폐기물'로 취급되어 환경오염 비용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그 안에 담긴 '고부가가치 자원'으로서의 경제적 가치를 상실하고 있는 이중적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부연설명

전국 유자 생산 1위인 고흥에서는 매년 수천 톤의 유자박(부산물)이 버려지고 있습니다. 대부분이 단순 매립되어 토양오염과 온실가스(메탄)를 유발하는 환경 문제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고흥에서는 대한민국 유자 생산량의 약 58%당담하고 있으면 폐기 비용도 1톤당 100만원정도로 부담이 되는 폐기비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유자자체에서 생성되는 작물중 사람이 먹지 못한는 파지의 비율이 15~20%정도 됩니다.

위치

59532

전남 고흥군 고흥읍 간천길 31-1 (호동리) 24

구성원
  • 팀명

    커넥션

  • 팀장

    박시훈

  • 팀원

    최낙원, 김건우, 최천기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고흥군은 전국 유자 생산량의 54%를 차지하는 최대 생산지이며, 이로 인해 매년 막대한 양의 부산물(유자박)이 필연적으로 발생합니다.

착즙률은 약 8프로정도 밖에 되지 않습니다.

근거2


유자박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 매립 시,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가 21배 강력한 메탄(CH₄)가스가 발생하여 기후변화를 직접적으로 유발합니다.

근거3

학술 연구 결과, 유자박에는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뛰어난 헤스페리딘, 나린진 등 고부가가치 기능성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음이 과학적으로 증명되었습니다.

근거4

버려지는 유자씨 추출물을 활용한 미백/주름개선 화장품 기술이 이미 특허로 등록되어, 유자 부산물의 산업적 활용 가치가 실제로 증명되었습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