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지역 주민들이 전통시장 이용보다 대형마트 이용을 선호하여 지역 전통시장 중심 상권이 약화되고 있다.

부연설명

조치원 내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한 옛상권과 홈플러스 등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한 신상권이 경쟁을 하였다. 그러다 대다수의 지역 주민들이 대형마트 이용을 선호하는 바, 전통시장 중심 상권이 약화되고 있다. 이는 단순히 소비 형태의 변화에 머무르지 않고 지역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전통시장은 오랫동안 지역 주민들의 만남의 장이자 공동체 문화가 살아 숨쉬는 공간이었으나, 이용객 감소와 더불어 시장 내 상인들의 매출이 크게 줄어들고 점포 폐업률이 증가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는 곧 지역 소상공인들의 생계 문제뿐 아니라 전통시장이 가진 공동체적 기능과 문화적 가치마저 약화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나아가 대형마트 중심으로의 소비 구조 고착화는 지역 내 자본 유출을 심화시켜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위치

30023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건강길 2 (교리) 조치원 전통시장

구성원
  • 팀명

    삼프로

  • 팀장

    변유선

  • 팀원

    이윤진, 이재경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넓은 주차 공간, 한 곳에서 다양한 생필품을 구매할 수 있는 원스톱 쇼핑 환경, 카드 적립이나 대규모 할인 행사와 같은 가격 경쟁력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생활 양식과 소비 습관에 더욱 적합하게 다가가고 있다.

근거2

대형마트에서 제공하는 자체 배송 시스템 등은 특히 맞벌이 가정이나 바쁜 일상 속에서 시간을 절약하려는 젊은 세대에게 큰 매력으로 작용하여 대형마트를 자연스럽게 선호하게 만든다

근거3

전통시장은 전반적인 시설 현대화 지연과 함께 온라인 결제나 모바일 프로모션 부재 등 디지털 전환이 뒤처져 있어 젊은 소비층 유입이 더욱 어렵다.

근거4

최근 모바일 결제·배달 앱의 활성화와 소비자 생활 패턴 변화로 인해, 집 근처나 대형마트 중심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전통시장의 이용률이 점점 줄어드는 추세이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