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대구의 여름철 폭염 문제는 도시 구조와 녹지 부족으로 인해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적극적인 도시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부연설명

대구는 ‘분지 지형’ 특성상 여름철 폭염이 다른 지역보다 훨씬 심한 도시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도심부의 경우 아스팔트 포장, 고층 건물 밀집, 녹지 공간 부족 등으로 인해 열이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고 ‘열섬현상’이 심화된다. 이는 시민 건강에 위협이 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 증가, 노인·취약계층의 외출 제한, 도심 활동 위축 등 다양한 사회·경제적 문제를 초래한다. 하지만 현재 대구 도심은 그늘막, 쿨링포그 등 단기 대책에 머물러 있으며, 장기적 관점에서의 도시 재설계와 녹지 인프라 확충이 절실하다. 예를 들어, 도심 내 생활권 녹지 확대, 도로 재질 개선, 옥상녹화 및 벽면녹화 등의 전략이 필요하다. 특히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그린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지속가능한 도시계획이 필수적이다.

위치

42263

대구 수성구 성동 110 대구 전지역

구성원
  • 팀명

    비상

  • 팀장

    세빈 이

  • 팀원

    민기 김, 정빈 김

해시태그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대구는 전국에서 폭염 일수가 가장 많은 도시 중 하나로, 2022년 기준 연간 30일 이상 폭염 발생.

근거2

녹지율이 낮고, 도시 구조상 열 축적이 높아 '도시 열섬 효과(Urban Heat Island)'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대표 사례.

근거3

녹지공간 확충 및 도시 재설계가 폭염 완화 및 도시 거주자의 삶의 질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다수 존재.

근거4

대구시의 그늘막, 쿨링포그 등 임시방편 위주의 정책이 실제 효과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 제기.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