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 ~ 2024.02 카드매출 기준 지역 관광소비 구조에서 “숙박”비중이 2.6%에 그쳐 체류형 약세를 시사함
- 중도일보 (https://m.joongdo.co.kr/view.php?key=20240329010009551)
근거2
같은 분석에서 상위 방문지가 국립세종수목원, 세종호수공원 등 무료, 공공 기반 단일 방문지 위주로 나타나 유료 콘텐츠, 연계 상품의 부족이 드러남
- 중도일보 (https://m.joongdo.co.kr/view.php?key=20240329010009551)
근거3
문화체육관광부 “2023 지역관광발전지수”에서 1등급 광역은 서울, 제주 두 곳 뿐으로, 세종은 선도권(1등급) 외 그룹에 위치함에 따라 종합 관광경쟁력 측면에서 상품, 인프라 보완 필요성이 시사됨
- 관광개발정보시스템 (https://m.joongdo.co.kr/view.php?key=20240329010009551)
근거4
관광진흥법 기준 “관광숙박업 등록현황”(2022.12.31)표에서 세종은 관광숙박업 등록시설 “없음”으로 표기됨에 따라 법정 숙박 인프라의 빈약함이 확인됨
- 관광지식정보시스템 (https://www.scribd.com/document/745509784/2022년-12월-31일-기준-관광숙박업-등록현황)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