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세종시는 체류형 수요를 견인할 관광상품의 상품화 수준이 낮아, 방문이 당일 및 단일지점 소비로 집중되고 있습니다. 또한 도시를 대표할만한 차별적 관광자원과 콘텐츠가 부족해, 외부 관광객들이 세종을 찾아야 할 이유가 부각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부연설명

핵심 관광자산(국립세종수목원, 세종호수공원 등)이 무료, 공공성 중심 단일 방문지로 소비되는 경향이 강하고, 숙박, 교통, 유료 콘텐츠를 결합한 연계 상품이 부족해 관광소비 구조와 체류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위치

30019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세종로 2511 (서창리,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석원경상관

구성원
  • 팀명

    온새미로

  • 팀장

    최재형

  • 팀원

    강민지, 김주희, 안희수, 홍준성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2023.03 ~ 2024.02 카드매출 기준 지역 관광소비 구조에서 “숙박”비중이 2.6%에 그쳐 체류형 약세를 시사함
- 중도일보 (https://m.joongdo.co.kr/view.php?key=20240329010009551)

근거2

같은 분석에서 상위 방문지가 국립세종수목원, 세종호수공원 등 무료, 공공 기반 단일 방문지 위주로 나타나 유료 콘텐츠, 연계 상품의 부족이 드러남
- 중도일보 (https://m.joongdo.co.kr/view.php?key=20240329010009551)

근거3

문화체육관광부 “2023 지역관광발전지수”에서 1등급 광역은 서울, 제주 두 곳 뿐으로, 세종은 선도권(1등급) 외 그룹에 위치함에 따라 종합 관광경쟁력 측면에서 상품, 인프라 보완 필요성이 시사됨
- 관광개발정보시스템 (https://m.joongdo.co.kr/view.php?key=20240329010009551)

근거4

관광진흥법 기준 “관광숙박업 등록현황”(2022.12.31)표에서 세종은 관광숙박업 등록시설 “없음”으로 표기됨에 따라 법정 숙박 인프라의 빈약함이 확인됨
- 관광지식정보시스템 (https://www.scribd.com/document/745509784/2022년-12월-31일-기준-관광숙박업-등록현황)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
출처1
출처2
출처3
출처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