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창원시 연안 해역(마산만, 진해만)의 미세플라스틱 오염이 눈에 보이지 않게 심각한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해양 생태계와 인간의 건강에 돌이킬 수 없는 위협이 되고 있다.

부연설명

이 문제는 당장 수거되지 않은 쓰레기처럼 눈에 띄는 불편함을 주지는 않지만, 바다 밑 퇴적층에 수십 년에 걸쳐 꾸준히 축적되고 있다. 이는 창원 지역의 플라스틱 소비와 폐기물 관리 시스템의 부실이 초래한 결과이며, 오염의 농도와 종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잠재적 위험성이 매우 큰 숨겨진 환경 재앙이다.

위치

52828

경남 진주시 진주대로 501 (가좌동, 경상국립대학교 가좌캠퍼스) 경상국립대학교 가좌캠퍼스

구성원
  • 팀명

    Base On NC 3조

  • 팀장

    이윤영

  • 팀원

    이윤영, 여호린, 이수빈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2000년대 이후 마산만과 진해만의 미세플라스틱 오염 증가율은 연간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 증가율인 8%를 약 2배가량 상회하는 수준입니다. 구체적으로 마산만의 연평균 증가율은 5%에서 15%로 3배, 진해만은 4%에서 10%로 2.5배 급증하여, 창원 연안이 전 지구적 플라스틱 오염의 '핫스팟(Hotspot)'임을 과학적으로 보여준다.

근거2

퇴적물에서 검출되는 플라스틱의 종류가 폭발적으로 다양해졌다. 마산만의 경우 1971년에는 단 2종의 폴리머만 발견되었으나 2018년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을 포함한 20종이 검출되었고, 진해만 역시 1988년 2종에서 2013년 10종으로 크게 늘어나, 현대 사회의 복잡한 플라스틱 소비 패턴이 해양 환경에 그대로 반영되고 있음을 증명한다.

근거3

검출된 플라스틱 종류를 통해 지역의 주요 오염원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양식장이 많은 진해만에서는 양식용 밧줄과 부표의 재질인 폴리프로필렌(PP)과 폴리스티렌(PS)이 상대적으로 많이 검출되었습니다. 반면, 도심 지역인 마산만에서는 훨씬 더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이 발견되어 생활하수 및 산업 활동 등 복합적인 오염원의 영향을 시사한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