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광주광역시 공유 전동킥보드 이용자들이, 2019년부터 지속된 광주의 지하철공사로 노면이 고르지않아 야간 주행 시 사고위험이 높다.

부연설명

▪광주광역시의 전동킥보드 이용자들은 2019년부터 지속된 지하철 공사로 인해 노면이 고르지 못해 야간 주행 시 사고 위험이 높다. 공유 전동킥보드의 전조등은 밝기가 충분하지 않아 노면 상태 파악이 어렵고, 이로 인해 잦은 급정거가 발생한다.

● 이용자: 공유 킥보드를 이용하는 만 17세~39세 사용자들은 야간 조명이 취약한 곳에서 울퉁불퉁한 노면 때문에 주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들은 전방 주시와 함께 바닥 노면 상태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 바닥 조명의 필요성을 느낀다. 또한, 운행이 미숙한 운전자들은 브레이크 고장 여부를 미리 알기를 원한다.

● 지자체/시민: 보행자나 자동차 운전자들은 전동킥보드의 접근을 빨리 알기 어려워 보행 또는 운행 시 위험을 느낀다. 따라서 킥보드의 접근을 알 수 있는 넓은 조명이나 소리 알림이 필요하다.

● 지자체 정책자: 도시 교통 안전 증진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공유 전동킥보드 안전 문제 해결에 적극적이다. 하지만 지방채 발행 규모가 전국 최고 수준이어서 노후화된 도로를 정비할 예산이 부족하다. 이들은 공유 전동킥보드 업체와 협력해 사고 예방을 위한 기기 개선과 업체의 책임 강화를 원한다.

위치

61186

광주 북구 용봉로 77 (용봉동, 전남대학교) 산학협력2호관

구성원
  • 팀명

    SafeWay

  • 팀장

    김정효

  • 팀원

    홍수민, 서다영, 천인혜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광주광역시에서는 매년 100건가량의 전동킥보드 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2024년 7월 한 달 동안에만 3명이 사망했다.

근거2

이러한 사고는 대부분 안전모 미착용, 2인 이상 탑승과 같은 안전 수칙 미준수뿐만 아니라, 제품 불량(브레이크, 배터리, 핸들 등)이 사고 원인 31.4%를 차지한다.

근거3

특히 광주 지역은 지하철 공사로 인해 도로 노면이 고르지 않은 상태가 지속되고 있어, 야간 주행 시 노면 장애물이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지자체는 도로 정비 예산 부족 문제를 겪고 있어, 도로 환경 개선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