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충청권 과수농가들은 여전히 병충해 조기 탐지와 예방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에 따라 농가의 경제적 손실과 농업 생산성 저하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부연설명

특히 과수화상병과 같은 주요 병해는 발병 시 확산 속도가 빠르고 방제가 어렵기 때문에, 초기 단계에서 병해를 정확히 탐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그러나 현재 농가에서는 육안 관찰이나 경험에 의존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어, 병해 발생을 놓치거나 늦게 발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AI 기반의 영상분석 및 센서등을 활용한 병충해 탐지 모델이 필요합니다. 이는 농가의 인력 부담을 줄이고, 조기 대응을 통해 피해 규모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위치

34206

대전 유성구 교촌대정로 97 (교촌동) 대전시 농업기술센터

구성원
  • 팀명

    엑시벤트

  • 팀장

    성수민

  • 팀원

    김유승, 이관형, Willmer, 김형진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농촌진흥청 조사에 따르면, 과수화상병 발생 시 인접 농가로의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전체 과수원을 폐원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피해액이 수십억 원에 이르는 경우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근거2

통계청 및 관련 학술논문에 따르면, 농가의 약 70% 이상이 병해충 발생 시 ‘사후 방제’ 중심의 접근을 하고 있으며, 조기 발견 및 예방 체계는 미흡한 실정입니다. 따라서 AI·IoT 융합 기술을 통한 조기 탐지 및 예측 모델 도입이 시급합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