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해결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광주광역시의 전동킥보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IoT 기반 안전솔루션 SafeWay를 도입한다.

부연설명

▪'SafeWay'는 광주광역시의 전동킥보드 이용자들을 위한 IoT 기반 안전 솔루션이다.



▪잦은 전동킥보드 사고의 원인 중 하나인 야간 주행 시의 취약한 시야와 브레이크 결함 문제를 해결하여 안전한 이동 환경을 제공한다.

▪환경적/개인적 문제: 광주 지하철 공사로 노면이 고르지 않은데 야간 조명이 취약해 전방 주시와 노면 상태를 동시에 파악하기 어렵다.

▪안전 문제: 전조등이 충분히 밝지 않고, 운행 미숙자들은 브레이크 고장 여부를 미리 알기 어렵다. 이로 인해 급정거가 잦아 사고 위험이 높다.

위치

61186

광주 북구 용봉로 77 (용봉동, 전남대학교) 산학협력2호관

구성원
  • 팀명

    SafeWay

  • 팀장

    김정효

  • 팀원

    홍수민, 천인혜, 서다영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전동킥보드는 무게중심이 아래에 쏠려 있어 후미등과 사이드 반사판이 깨지는 등 손상이 발생함. 외관을 보았을 때 새 전동킥보드와 사용감이 있는 킥보드의 브레이크 강도가 차이남.

근거2

일부 전동 킥보드의 브레이크가 고장 나 다칠 뻔한 경험이 있음.
• 사전 점검: 그 이후로 직접 브레이크를 확인한 후 운행한다고 답함.
바닥 노면 상태가 좋지 않을 때 킥보드가 심하게 덜컹거리거나 흔들린다고 답함. 넘어진 경험이 있고, 소지품을 떨어뜨린 적도 있음.

근거3

전동킥보드 이용시 사용횟수에 따라 브레이크 강도가 약하거나 레버가 고장나 있어, 사용 전 감으로 브레이크 이상을 확인한다. 이상 확인 시 킥보드를 교체하거나 도보를 이용한다.

야간 주행 시 전조등이 좁은 면적을 비춰 밝지 않아 불편함을 겪는다.

근거4

야간 주행 시의 어려움
• 바닥표면 요철이나 굴곡을 확인하기 어려워 규정속도로도 잘 다니지 못함.
• 헤드업디스플레이: 자동차에도 해당 기능이 있었음. 운전 시 시야 내에 있어 간편. 불규칙 노면을 피해갈 수 있는 형식이라면 좋을 것 같음.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