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해결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광주광역시의 전동킥보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IoT 기반 안전솔루션 SafeWay를 도입한다.

부연설명

▪'SafeWay'는 광주광역시의 전동킥보드 이용자들을 위한 IoT 기반 안전 솔루션이다.

▪SafeWay는 전동킥보드 브레이크 고장여부를 감지해 이용자에게 앱으로 알린다. 바닥HUD를 달아 주행 시 전방주시, 바닥노면상태 확인, 그리고 보행자가 킥보드를 피할 수 있도록 돕는다.

▪잦은 전동킥보드 사고의 원인 중 하나인 야간 주행 시의 취약한 시야와 브레이크 결함 문제를 해결하여 안전한 이동 환경을 제공한다.

▪환경적/개인적 문제: 광주 지하철 공사로 노면이 고르지 않은데 야간 조명이 취약해 전방 주시와 노면 상태를 동시에 파악하기 어렵다.

▪안전 문제: 전조등이 충분히 밝지 않고, 운행 미숙자들은 브레이크 고장 여부를 미리 알기 어렵다. 이로 인해 급정거가 잦아 사고 위험이 높다.

위치

61186

광주 북구 용봉로 77 (용봉동, 전남대학교) 산학협력관 2호관

구성원
  • 팀명

    SafeWay

  • 팀장

    김정효

  • 팀원

    홍수민, 천인혜, 서다영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4. 바닥 HUD(Head-Up Display) 조명 관련 의견
• 긍정적 효과: 킥보드 앞 바닥을 비추는 장치가 있다면 울퉁불퉁한 곳을 미리 피하거나, 피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놀라지 않고 안전하게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함.
• 기능 개선 제안: HUD 조명의 각도 조절 기능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횡단보도와 같은 곳을 지나갈 때 넘어지지 않고 주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함. 또한, 다른 사람들에게 킥보드 주행을 더 잘 알릴 수 있으며, 화살표 방향 표시등을 추가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고 제안함.

근거2

• 브레이크 성능: 브레이크가 더 잘 들었으면 좋겠고, 고장 난 킥보드를 미리 알고 사용하지 않기를 원함.

• 긍정적 효과: HUD 조명이 있다면 잘 활용할 것 같다고 답함. 이 장치가 있다면 울퉁불퉁한 곳을 미리 피하거나, 피하지 못하더라도 놀라지 않고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함. 또한, 급하게 브레이크를 잡아야 하는 위험한 상황을 미리 피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함.
• 타인에게 알림: 조명이 다른 사람들에게, 특히 차에, 자신이 킥보드를 타고 있다는 것을 더 잘 알릴 수 있을 것이라고 답함. 학교 및 학교 주변에서 차와 부딪히는 것을 무서워했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이 유용할 것이라고 언급함.

근거3

브레이크가 들지 않아 보행자와 충돌한 경험이 있음. 브레이크 고장여부를 미리 알 수 있기를 바람.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