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우리 지역사회는 장애인이 일할 수 있는 일자리와 고용 환경이 부족하여 경제적 자립과 사회적 참여가 심각하게 제한되고 있다.

부연설명

장애인은 지역 주민으로서 사회 구성원임에도 불구하고, 지역 내에서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기 어렵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의 포용성과 지속가능성을 가로막는 구조적 문제이다. 장애인 고용률이 낮게 유지되는 현실은 곧 사회적 비용 증가와 지역 공동체의 불균형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장애인 고용 확대는 지역 발전의 필수 조건이다.

위치

13619

경기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173번길 59 (구미동,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구성원
  • 팀명

    SMART

  • 팀장

    고찬혁

  • 팀원

    이승엽,백승호,배재우,박영준

해시태그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고용노동부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장애인 고용률은 전체 인구 평균 고용률보다 크게 낮으며, 특히 중증장애인의 경우 더욱 취업률이 떨어진다.

근거2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은 의무적으로 장애인을 고용해야 하지만, 이를 이행하지 않고 ‘부담금(벌금)’을 납부하는 경우가 많다. 지역 기업들도 이런 방식으로 책임을 회피하는 사례가 있다.

근거3

장애인이 취업할 수 있는 일자리 대부분이 단순노무직이나 저임금 일자리에 집중되어 있어, 경력 개발이나 장기적인 경제적 자립이 어렵다.

근거4

지역 주민 및 기업 내 인식 부족으로 인해 장애인을 동등한 근로자로 인정하지 않고, 생산성 저하만 우려하는 경우가 많아 취업 기회가 제한된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