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해결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광주광역시의 전동킥보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우리의 솔루션 SafeWay를 도입한다. 브레이크 고장여부를 미리 확인하고 바닥hud조명을 융합한, IoT 기반 안전솔루션 SafeWay를 도입한다.

부연설명

▪'SafeWay'는 광주광역시의 전동킥보드 이용자들을 위한 IoT 기반 안전 솔루션이다.

▪SafeWay는 전동킥보드 브레이크 고장여부를 감지해 이용자에게 앱으로 알린다. 바닥HUD를 달아 주행 시 전방주시, 바닥노면상태 확인, 그리고 보행자가 킥보드를 피할 수 있도록 돕는다.

▪잦은 전동킥보드 사고의 원인 중 하나인 야간 주행 시의 취약한 시야와 브레이크 결함 문제를 해결하여 안전한 이동 환경을 제공한다.

▪환경적/개인적 문제: 광주 지하철 공사로 노면이 고르지 않은데 야간 조명이 취약해 전방 주시와 노면 상태를 동시에 파악하기 어렵다.

▪안전 문제: 전조등이 충분히 밝지 않고, 운행 미숙자들은 브레이크 고장 여부를 미리 알기 어렵다. 이로 인해 급정거가 잦아 사고 위험이 높다.

위치

61186

광주 북구 용봉로 77 (용봉동, 전남대학교) 산학협력2호관

구성원
  • 팀명

    SafeWay

  • 팀장

    김정효

  • 팀원

    홍수민, 서다영, 천인혜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야간운전 시 반대차선 마주 오는 차의 전조등 불빛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일시적으로 보행자나 사물이 보이지 않는 ‘증발현상’과 교행차량의 전조등 불빛에 눈이 부셔 전방의 시야가 보이지 않는 ‘현혹현상’ 역시 사고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

근거2

버스 및 택시 광고는 넓은 도달 범위, 높은 브랜드 회상 효과, 소비자 행동 유도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전동킥보드도 버스,택시와 같이 넓은 도달범위를 지니고 있으므로 유사한 광고효과를 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