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상가 거리 쓰레기통 부재 및 문제점 분석

부연설명

도심 및 공공장소에서 쓰레기통과 분리수거 시설이 충분히 제공되지 않는 경우, 시민들은 쓰레기를 적절히 처리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일부는 쓰레기를 길거리에 무단 투기하거나 임시로 방치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거리가 청결하지 못한 상태로 유지되는 악순환이 발생한다. 특히 분리수거 시설이 부족하면 재활용률이 떨어지고, 생활폐기물이 뒤섞여 처리 비용과 환경적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위치

08221

서울 구로구 경인로 445 (고척동, 동양미래대학교) 고척동, 동양미래대학교

구성원
  • 팀명

    프레미오

  • 팀장

    김민아

  • 팀원

    이경오, 김민서, 이승환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실제 고척 상가 거리의 유동 인구를 대상으로 직접 인터뷰해 본 결과 ‘사람들이 금연 구역이나 쓰레기 무단투기 장소에 담배꽁초를 버리는 특별한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시나요?’라는 질문에 ‘쓰레기통이 부족하다’라고 많은 사람이 답변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쓰레기 무단투기 원인이 쓰레기통의 부족 문제와 연결되는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근거2

서울시는 2021년 시민 311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3.3%가 ‘쓰레기통이 적은 편’이라고 답했다. ‘쓰레기통이 많은 편’이라고 답한 비율은 1.5%에 불과했다. 현재 서울시의 단위 면적(㎢)당 쓰레기통 수는 약 8개다. 호주 멜버른(80개·2019년 기준), 미국 뉴욕(29개·2019년 기준) 등 세계 주요 도시에 비해 훨씬 수치를 나타낸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