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거리 곳곳에 쓰레기가 밀집된 구간에서는 까마귀와 비둘기 등 조류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이들은 쓰레기를 쪼아 먹거나 이동시키면서 음식물 쓰레기와 포장재가 주변에 흩어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쓰레기 구역이 더욱 지저분해지고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환경은 조류 개체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원인이 되며, 주민들에게 소음과 배설물 피해를 주고, 위생 문제를 유발한다.
쓰레기 무단투기 현상은 단순히 미관을 해치는 수준에 그치지 않고, 위생 문제 및 해충·조류 증가와 같은 2차적 문제를 유발한다. 실제로 서울시 환경정책과 조사 자료에 따르면, 공공장소의 무단 쓰레기 적치는 조류 개체 수 증가와 연계되어 도심 위생 문제를 심화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된 바 있다. 따라서 행사장 주변에 충분한 쓰레기 처리 시설을 배치하고, 쓰레기 밀집 구간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는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