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여소 불편사항
1-1. 따릉이가 질서정연하지 않게 무분별하게 어질러져 있음. 통행로를 가로막아 보행 시 불편. 도시 이미지 형성에 부정적.
*원인: 따릉이 주차장의 거치대 부족.
1-2. 위치기반을 활용한 비콘 서비스로 반납이 진행되어 정작 대여소가 아닌 곳인 길 건너편 혹은 대여소와 떨어진 거리에 따릉이가 반납되어 있는 경우가 있음.
*원인: 운영처는 "대체로 과다 거치가 잦은 대여소의 경우 원활한 반납 물량 수용을 위해 타 대여소 대비 비콘(반납 관여장치) 세기를 강하게 설정해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1. 자전거 전용도로의 부족(일부 대로와 한강변에만 잘돼있음)
2-2. 무동력 자전거라 언덕이나 경사로가 많은 서울의 경우 운행시 불편함이 많음.
3. 서비스 불편사항
3-1. 따릉이의 유지 보수가 늦어지고 있어 이용자들의 불편함 발생
*원인: 서울시설공단 강남 공공자전거관리소에서 현재 따릉이를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단순히 서울시민들은 앱에서 버튼만 누르면 해결되지만, 수리, 배송업무, 정비업무의 경우, 현장에 직접 사람들이 출동하고, 사람의 손으로 이루어집니다. 인력은 한정되어있는데 하루에 수리해야하는 자전거 350~400대이고, 분실된 자전거와 분배를 위해 회수하는 자전거는 600~700대라고 합니다.
3-2. 따릉이 어플의 호환성 및 확장 서비스 부족. 네비게이션 이용할 경우 지도 앱을 따로 이용.
1. 대여소 불편사항에 대한 해결방안
주차 시설을 증설해 자전거와 거치대를 1대1로 매칭함. 반납 방안을 위치 기반 블루투스가 아닌 거치대에서만 반납이 가능하도록 변경 (예시. 파리 전기자전거 거치대)
근거2
2. 운행시 불편사항 해결방안
무동력 자전거가 아닌 전기자전거로 서비스를 확장해 보행로가 아닌 차로변에 자전거 전용도로 제작
근거3
3. 서비스 불편사항 해결방안
반납 전, 현재 따릉이앱 고장신고에 있는 항목을 UI로 생성하여 체크리스트를 완료할 시 반납이 가능하도록 함. 고장 자전거 빠르게 추적 가능 ('소카'와 같은 경우 반납시, 불편사항을 모두 체크하는 UI를 추가해서 빠르게 유지 보수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하고 있음)
많은 이들이 이용하는 주요 라이딩 코스를 추천/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해 GPS를 통해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 편의성 제고(관광객/신규이용객), 자주 이용하는 코스를 등록할 수 있도해 이용자 편의성 제고(출퇴근 이용객)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