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대전지역은 생활권지역 (서구, 유성구)과
원도심지역(동구, 중구)로 나뉘어있다. 중앙로역에 위치한 성심당은 다양한 지역의 관광객으로 붐비고 있지만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지하상가는 활력을 잃어가고 있으며 중앙로역 지하상가만의 특색있는 콘텐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부연설명

성심당처럼 찾아가고 싶은 이유를 제공하지 않는 이상, 지하상가는 자연스럽게 도태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중앙로역 지하상가만의 정체성과 차별화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예1) 지역 청년 창업가나 아티스트의 팝업 스토어

예2) 대전만의 문화·역사 테마 공간

예3) 체험형 관광 콘텐츠(예: 미디어아트, 체험존)


위치

34838

대전 중구 중앙로 지하 145 (대흥동, 지하상가) 지하상가 전체

구성원
  • 이름리웨어스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폐업 매장·무인점포 늘어 매력 떨어져
440곳 중 194곳 의류매장… 경쟁력↓
상권 구조적 문제… 젊은층·가족 못잡아

대전 서구에 거주하는 대학생 장 모(28)씨는 “지하상가라고 해서 옷값이 특별히 저렴하지도 않고 온라인이나 브랜드 매장과 가격 차이도 거의 없다”며 “패션 트랜드 또한 시대의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다보니 굳이 오래된 매장을 찾을 이유가 없어 가끔 물품 보관소를 이용할 때만 지하상가를 들른다”고 말했다

출처 : 충청투데이(https://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18505)

근거2

지하상가의 대부분 의류매장 차지
일부는 폐업정리중이었음.

방문하여 인터뷰한 결과 의류 매장의 상품 가격대는 30,000~50,000이 대부분이었으며 의류 매장 사장님은 20대~60대 여성, 남성 다양한 나이대였으며 사장님의 나이에 따라 판매방식도 다양했다. 의류 매장의 경우 재고는 기부 or 낮은 가격으로 판매하여 처리하고 있었다.

근거3

“차별화를 기반으로 한 공간 혁신이 적용돼야 방문객들의 체류시간을 늘리고 만족도도 높일 수 있을 것”

“팝업스토어 하면 성수동이 떠오르는 것처럼 지하상가에 대한 이미지 메이킹이 자체적인 콘텐츠와 함께 구축돼야 방문객들로 북적거리는 대전 중앙로 지하상가로 탈바꿈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출처 : 충청투데이(https://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18513)


출처 : 충청투데이(https://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18513)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