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서울 지역의 공원 내 쓰레기통은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위생 문제와 악취가 발생하고 있다.

부연설명

쓰레기통이 충분히 배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기적인 수거와 관리가 미흡하여, 공원 이용객들이 불편을 겪고 있으며 주변 환경 미관도 저해되고 있다.

위치

07337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한강공원길 231 (여의도동) 여의나루역 2,3번 출구

구성원
  • 팀명

    MCA

  • 팀장

    이은규

  • 팀원

    김진환,이준혁,이성안,정유진

해시태그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월별 데이터를 보면, 여름철(5~9월)에 쓰레기 발생량이 다른 달에 비해 크게 높았다. 예를 들어 2022년 6월은 559, 10월은 611로 겨울철(1월 ,2월)에 비해 약 7배 이상 많았다. 이는 성수기 공원 이용객 증가에 따른 관리 부담을 보여준다.

근거2

데이터에 따르면, 2017년 한강공원 쓰레기 발생량은 총 4,832이었으나 2023년에는 3,296으로 약 31.8% 감소하였다. 그러나 이 감소는 관리 효율성 개선만의 결과가 아니라, 2020년 이후 코로나19 확산으로 공원 이용객 수가 줄어든 영향도 반영된 것이다. 실제로 2020년(3,704) 이후부터 전반적으로 배출량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는데, 이는 사회적 거리두기와 외부 활동 제한으로 인한 일시적 효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감소 수치만으로 문제 해결이 이루어졌다고 보기 어렵고, 향후 정상적인 이용객 증가 시 쓰레기 관리 부담은 다시 커질 수 있다.

근거3

월별 데이터를 보면, 여름철과 가을철 성수기에 쓰레기 발생량이 집중된다. 예를 들어 2020년 9월에는 747로 해당 연도 최대치를 기록했는데, 이는 같은 해 1월(31)의 24배에 달한다. 이는 계절별 편차가 크고, 성수기에는 관리 인력과 수거 주기가 집중적으로 강화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근거4

코로나 시기(2020~2022)에도 특정 시기에는 쓰레기 발생량이 여전히 높게 나타났다. 2022년 6월에는 559, 10월에는 611로 비성수기 평균(약 100~200)의 3~5배에 달했다. 이는 외부 활동이 부분적으로 허용되거나 행사·모임이 재개될 경우 쓰레기량이 급격히 늘어나, 관리 체계가 쉽게 과부하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