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대구 지하철 3호선은 교통·노선·요금 혜택·관광 활용 등 여러 문제로 인해 이용률이 낮고, 대중교통과 지역 경제 활성화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부연설명

대구 지하철 3호선은 모노레일로 개통될 당시 도시 교통 혼잡 완화와 관광 자원화를 동시에 기대했지만 실제로는 이용률이 기대치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
1,2호선과의 환승 동선이 불편하고 연계 버스 노선이 부족해 접근성이 떨어지며 긴 배차 간격과 불규칙한 운행으로 출퇴근 시간대에도 시민들이 대중교통 대신 자가용이나 버스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주요 대학, 산업단지, 주거 밀집 지역 등 실제 이동 수요가 높은 거점을 충분히 연결하지 못해 통근, 통학 수요를 흡수하지 못하고 있다. 역세권 개발이 늦고 주변 상권이 활성화되지 않아 역 이용의 필요성이 낮으며 요금 할인이나 정기권 혜택이 부족해 잠재 이용객의 동기 부여도 미흡하다.

모노레일이라는 특유의 개방적 조망과 관광 잠재력도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해, 대구의 도시 이미지 개선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기회를 놓치고 있는 상황이다.

위치

41442

대구 북구 칠곡중앙대로 505 (읍내동) 대구도시철도공사 3호선 본부

구성원
  • 팀명

    리플러프

  • 팀장

    장효인

  • 팀원

    장소현, 장효인, 한유정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대구교통공사에서 제공하는 역별·시간대별 승하차 인원 통계에 따르면, 3호선은 특정 시간대와 역에서 이용객이 현저히 적어 노선 전체 평균 이용률을 낮추는 구간이 존재한다.

근거2

월별 승차인원 통계자료를 보면 3호선은 개통 초기 이후 이용객 증가세가 둔화되었고, 최근 몇 년간은 정체 또는 일부 구간에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근거3

언론 보도에 따르면 대구 도시철도 전체 30개 역 중 약 2/3가 최근 이용객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으며, 3호선 역시 여러 역에서 이용률 감소가 확인되었다.

근거4

대구 지하철 3호선의 배차 간격은 평일 평균 7분, 출퇴근 시간대 5분으로 다른 노선이나 버스보다 대기 시간이 길어 승객의 불편을 유발하고 이용률을 낮추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