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부산항을 중심으로 한 활어 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품질 문제는 지역 수산업 경쟁력을 저하시킨다.

부연설명

부산은 국내 최대 수산물 집산지이자 활어 수출입의 중심 항만이다. 그러나 활어 운송 과정에서 폐사율 증가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특히 국내외에서 한국산 활어 소비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운송 중 스트레스와 폐사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부산 수산업의 신뢰와 경쟁력이 약화될 우려가 크다. 따라서 활어 운송 안정화는 지역 어민 소득과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현안이다.

위치

49111

부산 영도구 해양로301번길 17 (동삼동, 부산항국제크루즈터미널) .

구성원
  • 팀명

    Sapotar

  • 팀장

    박세원

  • 팀원

    권윤지, 전다원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부산항은 전국 최대 수산물 집산지로, 일본·중국 등 활어 소비국과 직접 연결되어 있어 활어 운송 안정성이 곧 수출 경쟁력과 직결된다. 실제로 부산은 국내 수산경제에서 중추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2023년 기준 부산을 통한 수산물 유통량은 1,276천 톤으로 전국 총 유통량의 39.7%를 차지한다. 또한 수산물 수출 규모는 807백만 달러로 전국의 26.8%를 담당하고 있으며, 수입 규모 역시 2,050백만 달러에 달해 전국 수입액의 36.1%를 차지한다. 이러한 수치는 부산항이 단순한 항구가 아니라, 국내 수산물 교역의 중심지임을 보여준다.

근거2

양식 어류는 사육과 상품화 과정에서 수송이 필수적이지만, 이 과정에서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와 혈액 성분 변화가 일어나며 폐사율이 높아질 수 있다. 예컨대 seabass 운송 실험에서는 적재 밀도와 시간이 늘어날수록 생존율이 80% 수준으로 떨어져 조건 관리의 중요성이 입증되었다. 운송 중에는 산소 결핍 등의 이유로 폐사가 가속화되며, 이를 막기 위해 국내에서는 산소 공급 장치를 장착한 활어 수송 차량을 사용한다. 그러나 현재의 산소 공급 장치만으로는 폐사와 품질 저하를 완전히 막을 수 없을 뿐 아니라 활어 운송 차량 자체의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부산 수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개선 방안이 반드시 필요하다.

근거3

부산항을 오가는 활어 운송차량은 어류 생존을 위해 수조에 물을 가득 채우고 산소탱크를 실으면서 무게가 과도하게 늘어나고, 불법 개조로 인해 제동력이 떨어져 교통사고 위험이 크다. 운송 중 바닷물이 도로로 흘러 미끄럼 사고를 유발하는 사례도 빈번하게 보고되었으며, 관리·검역의 사각지대 속에서 위생과 품질 저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운송 문제는 어민과 유통업체의 경제적 손실뿐 아니라 소비자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져 부산 수산업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근거4

국내 통계에 따르면 국민 1인당 수산물 소비량은 2001년 52.8kg에서 2021년 68.4kg까지 늘며 장기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여왔고, 활어회에 대한 외식 수요 또한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특히 활어류 양식의 수요조사에서 생산과 소비 모두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해외에서도 한국산 활넙치 수출은 2021년 1,857톤에서 2023년 2,410톤으로 회복하며 전년 대비 7.6%, 평년 대비 4.7% 증가했고, 수출금액도 4,305만 달러로 전년 대비 4.5%, 평년 대비 14.2% 증가하였다. 이러한 국내외 수요 증가 속에서 운송 과정의 스트레스와 폐사율, 품질 저하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수산업의 성장세가 제약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