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은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지속 가능한 지역 자립 기반이 약화되고 있다.
인구가 줄어들면 지역 세입이 감소하지만 고령층 증가로 인해 복지·돌봄·의료 예산 부담은 급증하게 된다. 농촌형 시·군은 자체 세수 규모가 작아서 도로, 교통, 방재, 문화시설 같은 기반 인프라 개선 사업을 추진할 재정 여력이 부족하다. 결과적으로 지역 간 재정 격차가 커지고 수도권-지방 간 불균형뿐 아니라 지방 내 불균형도 심화되고 있다.
28798
충북 청주시 서원구 분평동 1430 충청북도국토균형발전및지방분권촉진센터
AEPSK
고은결
류윤정, 임재혁, 한경
#지역자립 #복지예산 #보건예산
고령화율이 높은 충남·충북 지역은 보건, 복지 예산이 전체 지출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사회복지비가 매년 증가하면서 기반시설 투자 여력은 지속적으로 축소되고 있다.
충청권의 다수 지자체는 자체 세입보다 국고보조금 비중이 높아, 중앙정부 예산 편성에 따라 사업의 지속 여부가 좌우되는 구조다. 이는 지방분권 확대 정책의 실질적 성과가 부족하다는 지적과 함께 지방정부의 독자적 정책 실험이 어려운 현실을 보여준다.
충북의 경우 4개 시군이 지방세만으로 공무원 인건비를 지급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