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해결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광주 동구의 폐업 가속화 문제를 해결하고 상권을 재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신규 콘텐츠 개발을 통한 외부 수요 창출 및 체류기간 증가와 '공실 상가 활용' 및 '특성화 금융 지원'을 통한 내부 상권 경쟁력 강화가 시급합니다.

부연설명

광주 동구 상권의 폐업 가속화는 인구 유출과 상권 노후화라는 복합적인 문제에 기인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동구의 체류형 관광 매력을 극대화하여 외부 수요를 창출해야 합니다. 특히 지산유원지 혁신과 같은 랜드마크 개발을 통해 2030 세대를 유인할 수 있는 킬러 콘텐츠를 확보하여 관광객의 체류 시간을 늘리고 인근 상권 소비를 유도해야 합니다.
동시에, 공실 상가를 활용한 청년 창업 및 신규 사업 유치를 통해 상권에 활력을 불어넣고, 기존 소상공인에게 점포 리모델링 및 디지털 전환 지원을 확대해야 합니다.
다만, 이러한 지원금이나 사업 혜택이 특정 대형 사업체나 소수에게 집중되어 상권의 다양성을 저해하거나 폐업 위기 소상공인의 기회를 박탈하지 않도록, 지원 대상과 규모를 세밀하게 설계하고 투명하게 집행하여 독점을 막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위치

61466

광주 동구 서남로 1 (서석동, 동구청) 광주광역시 동구청

구성원
  • 팀명

    광영 (Gwangju local Heros)

  • 팀장

    김범도

  • 팀원

    묵성준 조예린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지역 경쟁력 확보를 위해 신규 콘텐츠 개발은 필수입니다. 광주가 '노잼도시'라는 오명을 벗고 타 지역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외부 관광객을 끌어들일 획기적인 콘텐츠 개발이 필요합니다.

일단 침체 상권 회복을 위해 노후 랜드마크 혁신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합. 오랜 기간 방치된 지산유원지와 같은 노후 랜드마크를 혁신적으로 재개발하여, 이를 중심으로 상권 연계를 강화하는 것이 근본적인 상권 회복의 출발점입니다.

근거2

공실 해소와 활력 증진을 위해 청년 창업 유치가 효과적입니다. 충장로 등 노후 상권의 빈 점포를 청년 창업 공간으로 활용하는 지원 사례는 공실률을 낮추고 상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실질적인 해결책임을 증명합니다.

기존 자원과 로컬 콘텐츠의 결합이 상권 재도약의 핵심입니다. 동명동 사례와 같이, 기존의 도시재생 자원과 특색 있는 로컬 콘텐츠를 결합하고 지원하는 것이 상권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재도약의 열쇠입니다.

근거3

지원금 부정 수급 방지 및 투명성 확보가 시급합니다. 소상공인 지원 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형평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원금 독점 및 부정 수급 문제를 막기 위한 투명하고 공정한 집행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실질적 상생을 위해 지원 기준의 공정성이 중요합니다. 상권 활성화 지원 혜택이 특정 대형 사업체가 아닌, 실제 폐업 위기에 놓인 영세 소상공인 등 다수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공정한 지원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진정한 지역 상생의 길입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