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는 교통 인프라의 지역 간 격차로 인해 교통 사각지대가 존재한다
중심지구·버스‧지하철 노선이 상대적으로 잘 갖춰진 지역에 비해, 외곽이나 신흥 주거지(구·군)에서는 버스노선이나 지하철 접근성이 떨어져 이동이 불편하다. 이로 인해 생활의 질 격차가 발생하고, 이동이 어려운 고령층과 저소득층이 불리해질 수 있다.
41411
대구 북구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27 (연경동) .
리플러프
장효인
장소현 한유정
#교통 #도로망의한계 #교통사각지대
"대구 대중교통 빈부격차…서구는 왜 외면당하나” 기사에서 서구 지역이 지하철 미통과 등으로 대중교통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옴
‘대구 교통오지’ 소외되는 지역 없도록…촘촘한 교통 인프라”라는 기사에서 교통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요구가 언급
교통량 조사 및 보고서에서도 대구가 단핵도시 구조와 도로망의 한계를 안고 있다는 분석이 제시되어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