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흥에서 생산되는 유자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고양이 모래 또는 곤충 톱밥으로 아이디어 상품을 개발하면 지역 환경 개발과 폐기 처리 비용을 감소시킬수 있고, 부가 가치를 창조할수있다.
부연설명
고흥군은 전국 최대 유자 생산지이나, 매년 수천 톤의 유자 껍질, 씨 등 부산물이 폐기물로 처리되어 막대한 소각/매립 비용이 발생하고 환경 오염을 유발하고 있습니다. 유자 껍질의 천연 탈취 효과와 항균성에 주목하여, 이를 친환경 고양이 모래나 곤충 사육용 톱밥(배지)으로 제품화하고자 합니다. 이는 폐기물을 자원화하여 환경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급성장하는 반려동물 및 곤충 산업 시장에 진출하여 새로운 부가 가치를 창출하는 '업사이클링' 모델입니다.
통계청(KOSIS) 및 고흥군 자료에 따르면 고흥군은 전국 유자 생산량의 50% 이상을 안정적으로 차지하고 있습니다. 유자즙 등 가공 후 발생하는 부산물(유자박)은 원물의 30~50%에 달하며, 이는 연간 수천 톤 규모로 추산됩니다. 현재 이는 대부분 농업 폐기물로 분류되어 막대한 처리 비용을 유발하고 있습니다.
근거2
[유자 껍질의 과학적 효능 (탈취/항균)] 다수의 학술 논문에 따르면, 유자 껍질에는 '리모넨(Limonene)'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 성분은 암모니아 등 악취 가스에 대한 강력한 탈취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특정 유해균(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등)의 성장을 억제하는 항균 활성을 가집니다. 이는 화학 성분 없는 천연 고양이 모래 및 위생적인 곤충 배지(톱밥)의 핵심 원료로 적합합니다.
근거3
[지속 성장하는 친환경 펫·곤충 시장] 농림축산식품부 및 KB경영연구소에 따르면, 국내 반려동물 연관 산업 시장은 2022년 8조 원 규모를 돌파했으며, 2027년 15조 원까지 성장이 전망됩니다. 특히 '펫 휴머니제이션' 현상으로 인해 화학 성분이 없는 친환경·천연 소재 제품(고양이 모래 등)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곤충 산업 역시 미래 식량 및 사료 자원으로 주목받으며 정부 육성 하에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근거4
미 국내외에서 농업 부산물을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재활용한 사례가 다수 존재합니다. 대표적으로 ▲커피 찌꺼기(커피박)나 콩비지를 활용한 고양이 모래 ▲감귤 껍질(감귤박)을 활용한 친환경 버섯 배지(농촌진흥청 개발) ▲맥주 부산물(맥주박)을 활용한 에너지바(리너지가루) 등이 상용화에 성공하여, 폐기물 처리 비용 절감과 신규 시장 창출을 동시에 달성했습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