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해결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AI 기반 뇌영상 분석 및 원격 판독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여 지역 의료기관의 영상 판독 격차를 해소하고, 조기 진단 및 신속한 치료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

부연설명

광주·전남 지역의 중소병원과 지방 의료기관은 전문 신경영상의학과 인력이 부족하여 MRI, CT 등 고해상도 뇌영상의 해석이 지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환자는 대형병원으로 이송되거나 진단 대기 시간이 길어져 치료 골든타임을 놓치는 사례가 빈번하다.
AI 기반 영상 정합 및 분석 기술을 도입하면, 영상 데이터에서 자동으로 병변(예: 뇌종양, 허혈성 병변 등)을 탐지하고, 원격 판독 시스템과 연계하여 비전문 병원에서도 신속하게 진단 의견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료 인력의 지역 편중 문제를 완화하고, 진단의 표준화 및 의료 형평성 제고를 실현할 수 있다.

위치

61469

광주 동구 제봉로 42 (학동, 전남대학교병원) 전남대 병원

구성원
  • 팀명

    DeepBrain Sync

  • 팀장

    송윤구

  • 팀원

    송윤구, 최민, 서민설, 이가헌, 박상호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전문 인력의 지역 불균형
보건복지부 의료자원 통계에 따르면 영상의학과 전문의의 상당 부분이 대도시에 집중되어 있으며, 특히 지방 병원의 경우 인력 부족이 심각한 상태이다.

근거2

영상 판독 지연으로 인한 진단·치료 지연과 예후 악화

우리나라에서 급성 뇌졸중 환자의 경우 병원 도착까지 시간이 지연되면 치료 개시율이 낮아지며, 이는 결과적으로 환자의 예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근거3

AI 기반 영상 분석 기술의 임상 효용성 입증

인공지능(AI) 및 딥러닝 기반 영상판독 보조 기술이 뇌종양·뇌질환 영상에서 의미 있는 성능을 보였다는 리뷰가 있다

근거4

원격 협진·AI 판독 도입의 의료 형평성 개선 효과

의료자원이나 영상판독 시스템이 부족한 지역에서 원격 판독·AI 활용이 접근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증거들이 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