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해결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AI 기반 '뇌질환 응급환자 분류 및 최적병원 전원 시스템(Fast-Track)'을 광주·전남 권역에 도입하고, 이를 중심으로 중소병원과 거점병원(전남대/조선대병원) 간의 실시간 '전문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부연설명

AI 기반 응급환자 분류 (신속성): 119구급대나 지역 응급실에서 뇌 CT/MRI 촬영 즉시, AI가 뇌출혈/뇌경색 여부 및 중증도를 1차 분석합니다. 이는 환자가 거점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혹은 지역 병원에서 즉시 중증도를 판단하는 근거가 됩니다.

협력 네트워크 및 전원 시스템 (효율성):

AI 분석 결과 '경증' 또는 '중소병원 처치 가능'으로 판단되면, 환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인근 중소병원으로 안내되어 거점병원의 과밀을 해소합니다.

AI가 '중증/수술 필요(대혈관 폐색 등)'로 판단하면, 이 정보가 즉시 전남대/조선대병원의 뇌졸중 센터로 전송됩니다. 거점병원은 환자가 도착하는 즉시 수술이나 시술을 준비할 수 있게 됩니다.

위치

62284

광주 광산구 첨단월봉로 99 (산월동, 광주보훈병원) 광주보훈병원

구성원
  • 팀명

    DeepBrain Sync

  • 팀장

    송윤구

  • 팀원

    팀원 송윤구, 최민, 서민설, 이가헌, 박상호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상급병원 환자 쏠림 및 응급실 과밀화의 심각성
전남대병원과 같은 지역 최상위 병원의 응급실은 이미 포화 상태이며, 병상 부족률이 심각한 수준입니다. 이러한 과밀화는 응급 환자의 대기 시간을 무한정 늘리고, 제때 치료받아야 할 뇌질환 환자들의 골든타임을 놓치게 하는 직접적인 원인이 됩니다.

근거2

'응급실 뺑뺑이'로 인한 치료 지연 (전국적 문제)
수도권뿐만 아니라 지방 거점병원에서도 '응급실 뺑뺑이'(환자가 병원을 전전하는 현상)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특히 뇌졸중 환자의 경우, 병원 수용 거부로 인해 구급차에서 시간을 허비하다 치료 시기를 놓치는 사례가 빈번하며, 이는 광주·전남 권역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근거3

AI 뇌졸중 솔루션의 임상적 효과 (신속한 중증도 분류)
실제 임상 현장에서 AI 기반 뇌졸중 진단 보조 솔루션은 뇌 CT 영상을 수 분 내로 분석하여 응급 뇌졸중 환자를 신속하게 선별(Triage)하는 데 효과를 입증했습니다. 이는 환자의 중증도를 빠르게 판단하여 경증 환자를 분산시키고 중증 환자를 거점병원으로 즉시 전원하는 시스템의 기술적 기반이 됩니다.

근거4

지역 단위 응급의료 협력 모델의 필요성 (정책적 방향)
정부(보건복지부)는 이미 이러한 지역별 응급의료 불균형과 병목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를 중심으로 지역 병원 간 연계·협력 체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뇌질환은 신속한 이송과 최종치료(시술/수술)가 핵심이므로, 지역 병원 간의 환자 전원 및 정보 공유 네트워크 구축은 국가 정책 방향과도 일치합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