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사회적 약자에게도 문화 활동의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부연설명

부산광역시의 대표적 명소로는 해운대, 광안리, 해동용궁사 등이 있다. 그 중 광안리 해수욕장은 1년 365일 전국 곳곳에서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그러나 막상 현장에서 신체가 불편한 장애인들을 쉽게 마주치기 힘들다. 장애인들을 위한 편의시설은 갖춰져있어도, 장애인들이 체험하고 즐길 수 있는 시설은 갖춰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장애인은 관광 및 여행을 포함한 여러 문화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휠체어로 인한 불편함도 존재하지만 시설들의 부재와 부족한 안내 표지로 인해 이러한 사태들이 발생하는 것이다. 장애인에게 휠체어는 다리와 같은 존재이다. 그런 장애인들에게 더 나은 이동권이 보장되고, 보다 다양한 관광지 및 체험을 즐길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장애인 사업은 필요가 아닌 당연히 국민으로서 보장받아야 될 권리이다.

위치

48303

부산 수영구 광안해변로 219 (광안동, 수영구문화센터) 광안리 관광안내소

구성원
  • 팀명

    모두리

  • 팀장

    정재훈

  • 팀원

    이창환, 최원우, 김민규, 백윤지, 이예지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부산의 대표적인 관광지 광안리를 예시로 장애인에 관련된 편의시설이 미흡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광안리 해수욕장을 보면 장애인 전용 화장실 및 관광 안내소 등 장애인 편의시설은 존재하지만 다소 부족한 점이 있다. 광안리 해수욕장내 장애인 전용 화장실의 정확한 위치나 장소 표기가 되어있지 않고, 심지어 관광 안내소는 계단으로 되어있어 선뜻 방문이 쉽지 않다. 또한 장애인을 위한 모래사장 내에 산책로를 만들어두었지만, 실제로 장애인들은 막상 하기가 쉽지 않다고 말한다.

참고로 장애인 이동권에 대해 2001년부터 2022년 현재까지 여러 장애인 인권 단체들이 이동권을 요구하며 시위를 한 결과 교통약자의 이동편 증진법이 제정이 되었다.

근거2

넘쳐나는 정보 중 장애인은 정보의 접근조차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시각장애인의 경우 보조 기기를 쓰거나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만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정보격차가 벌어질 수밖에 없다. 정보화 사회로 발전하면서 영상통화 등이 활성화되며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은 나아졌지만 외부로부터 받아들이는 정보들은 비장애인에게 초점이 맞춰진 음성정보, ARS 등이 많아 제대로 이용할 수 없다. 관광을 하는 데에도 홈페이지나 관광 안내 등 전자 정보 접근성 수준이 미흡하여 장애인의 이용이 어렵다.광안리 해수욕장이 관광 환경 접근성 측면에서는 비교적 높지만 해수욕장 내 장애인에게 필요한 편의 시설에 대한 설명 및 사이트 자체의 부재로 음성지원이 되지 않는 등 다소 낮은 결과가 나왔다.

참고로 현재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인터넷 이용률을 비교하면 장애인의 인터넷 이용률은 27.6%은 비장애인의 인터넷 이용률 65.5%보다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원인은 소득 격차와 교육기회가 있는데 소득 격차에는 종사하고 있는 직종과 직업을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 교육 격차에는 일반적 교육과 특수화 교육의 차이가 있다.

근거3

비장애인이 장애를 갖게 되는 것은 특별한 경험이다. 그들은 대체로 자신이 정상으로 돌아가길 원한다. 사회의 일원으로써 함께 어울려지며 여러 이바지하길 희망하지만, 아직 우리의 사회적 시선과 이미지 등 인식이 높지 않은 수준이다. 사회와 가족이 보호해야될 존재, 도움이 필요한 대상 등 여러 사람들이 많은 생각을 가지고 있다. 반면 장애인이 사회적 지위를 얻었을 때, 흔히 말하는 성공을 이뤄냈을 때에는 영웅과 같은 우상화되어 아주 대단하고 남들보다 뛰어나다는 다소 과장된 좋은 이미지를 얻게 된다. 이와 같은 사례들로 인해 장애인들은 자존감이 저하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장애인이 지금껏 경험해보지 못했거나 인식하지 못한 것도 비장애인의 고정관념으로부터 인식에 내재되어 잘못된 편견을 형성하기도한다. 올바른 장애 인식 제고와 긍정적 시선으로 그들을 위한 개선을 주제로 많은 프로젝트와 노력이 진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