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동작구의 수해 문제는 하수도 막힘 현상과 방재지구,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미지정으로 인한 문제이다.

부연설명

동작구의 수해 문제는 2011년 발생 이후 2022년에도 발생했다. 동작구의 하수구 품질은 ‘2021년 자치구 하수도관리 실태평가’에서 우수구로 선정될 정도로 우수하나, 수해가 발생했다. 즉, 동작구의 수해 문제는 설비 자체의 문제가 아닌, 쓰레기로 인한 하수구 입구 막힘 등 민간 차원의 문제로 볼 수 있다.

또한, 반지하 건축 규제는 방재지구,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로 지정된 경우에 해당한다. 다만, 동작구는 이에 해당하지 않아 반지하 건축 및 거주가 계속되고 있다. 2022년 8월 상도동 반지하 거주 주민이 사망했다.

위치

06928

서울 동작구 장승배기로 161 (노량진동, 동작구청) 동작구청

구성원
  • 팀명

    [중앙대] 5조

  • 팀장

    이형규

  • 팀원

    이형규, 오준호, 주은영

해시태그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홍수위험지도 정보시스템 도시침수지도 위험도에 따르면, 동작구 중 수해를 입은 지역들이 1~3등급에 해당하나, 방재지구 및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에 해당하지 않음.

근거2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자료에 따르면, 빗물받이를 3분의 1만 덮어도 침수심이 증가하며, 빗물받이 전체를 덮을 경우 시간당 50mm의 강우라도 10분 이내에 연석(0.2m)을 범람하여 주변 건물의 침수가 우려된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