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해결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흡연 부스 또는 금연 구역을 늘리자.

부연설명

잦은 길거리 흡연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흡연 부스와 금연 구역을 늘리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위치

03656

서울 서대문구 가좌로 134 (홍은동, 명지전문대학) 예체능관 지하1층

구성원
  • 팀명

    마케팅광고협회

  • 팀장

    장미소

  • 팀원

    장유리, 김도혜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2021년 5월 11일 서울시에 따르면 2020년 12월 기준 시내 금연구역은 28만7200곳, 흡연구역은 7089곳이다. 금연구역 40곳 당 흡연구역은 1곳에 불과하다. 서울시 인구 약 959만명 가운데 추정 흡연인구(전체 흡연자 비율 21.5% 적용)는 약 200만명이다. 흡연자 282명 당 흡연구역이 1곳에 불과한 셈이다. 이러한 점으로 보았을 때 흡연자들이 길거리에서 흡연을 하는 이유는 흡연구역 부족 문제가 존재하기 때문이므로 흡연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흡연구역을 늘려야한다.

근거2

흡연자인권연대가 흡연자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흡연자들은 서초구 양재동 전역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한 것에 대해 질문(복수 응답 가능)을 던지자 일방적으로 인권과 행복추구권을 박탈당하고 억압받는 느낌이다(68.4%), 부스와 환기 시설이 없어 비흡연자에게도 불편을 줄 것 같다(63.8%), 흡연구역이 너무 멀리 있어 불편하다(39%) 등의 의견을 보였다. 아울러 흡연자의 흡연권 및 행복추구권이 존중받지 못하는 일방적 양재동 전면 금지구역 관련하여 헌법소원을 제기하자는 의견도 87.4%에 달했다.

근거3

윤 당선인은 대선 전인 1월 28일 '석열씨의 심쿵약속' 23번째 공약으로 "비흡연자와 흡연자간의 근본적 공간분리를 통해 담배연기로 인한 사회갈등을 줄이겠다"고 밝혔다. 담뱃세 일부를 활용해 흡연부스 등 구역을 추가하고, 국민건강진흥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흡연구역에 대한 기준을 정립하겠다는 것이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