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단기대책으로 첫째, 일자리 창출을 위해 공공부문 사회적 일자리의 확대와 임시적 일자리의 제공, 해외인턴 및 연수, 한국판 평화봉사단 파견 확대 등을 통한 직장체험 기회의 확대를 제시하고 있다.
둘째, 직업훈련대책으로 대상·업종별 특화된 맞춤형 훈련 확대, 10대 차세대 성장산업에 부응할 수 있는 훈련프로그램 개발, 서비스산업의 자격종목 개발 등이 있다.
셋째, 취업알선대책으로 직종과 직업을 탐색하는 직업지도 프로그램 운영, 고용안정센터내 청년취업지원실 설치 등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한편 중·장기 대책으로는 첫째,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위해 10대 차세대 성장동력산업 선정 및 육성, 동북아 물류, 금융허브 기반조성, 지역특화발전특구제도 도입, 중소기업의 취업여건 개선 등 성장잠재력 확충에 주력하고 있다.
근거2
둘째, 산업수요에 맞게 대학교육을 개편하고 기업활동과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하여 수요자 중심으로 대학의 정원과 학과·교육과정을 개편하고 주문형 교육과정의 개발, 전공 분야별 취업률 공표제도의 실시, 사내대학의 활성화 및 대학내 기업설립 및 외부연구소 유치확대를 통해 학교교육과 노동시장간의 격차를 점차 축소시켜 나갈 계획이다.
근거3
셋째, 청년고용 인프라 구축과 직업지도 강화를 위한 정책으로 직업지도 프로그램의 개발·보급, 세부직업별로 중장기 인력수급 상황을 전망할 수 있는 인프라의 구축과 함께 노동시장 관련정보를 통합·표준화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의 구축을 주요 대책으로 제시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정책의 추진을 위하여 올해 5,400억원을 편성하여 13만명의 청년에게 일자리·연수·훈련기회를 제공하며, 실직자 재취직 훈련 중 청년층 지원(3만6천명)과 1개월 이하 지원프로그램(7만6천명)을 실시할 계획이다. 이러한 정부의 청년취업종합대책을 통해 향후 매년 30~40만개의 신규일자리가 창출되고 청년실업률이 5%대로 안정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