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제주도에서 생산되는 비상품 감귤 문제를 활용할 방안이 필요하다.

부연설명

2021년 제주도 노지감귤 예상 생산량은 465,000t이었으며, 그 중 비상품 감귤은 103,000t이었다. 매 년 제주도에서는 비상품 감귤 유통을 막고 감귤 농업 종사자들의 비상품 감귤 소비를 위해 가공용 감귤 수매 사업을 하고 있으나, 비상품 감귤 전체를 소비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비상품 감귤 유통 방지를 위해 들어가는 예산 또한 적지 않기 때문에 제주 비상품 감귤 문제를 해결할 방안이 필요하다.

위치

63556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산간서로 212 (강정동,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농업기술원

구성원
  • 이름오준호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제주도에서는 매 년 가공용 비상품 감귤을 수매하고 있다. 2021년 62,000t을 수매했으나, 제주도 내 생산된 비상품 감귤은 103,000t으로 모든 비상품 감귤 공급을 처리하기에는 모자라다. ㈜롯데칠성의 경우, 농가의 처리난을 고려해 추가적으로 1,500t을 수매했으나, 그럼에도 비상품 감귤은 모두 처리되지 않고 있다.

근거2

매 해 생산되는 제주도 비상품 감귤을 출하하여 소비자들이 피해를 입고 있다. 제주도에서는 자체적으로 선과장에서 비상품 감귤을 출하하지 못하도록 관리, 감시, 감독하고 있으나, 그럼에도 유통되어 소비자들에게 들어가게 되는 비상품 감귤은 소비자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

근거3

비상품 감귤이 유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주도에서는 극조생 가공용감귤 자가농장 격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예산은 50억 원으로, 이를 사용해서 비상품 감귤을 처리하고 있다. 비상품 감귤이 시장에 유통되지 않도록 매년 50억원의 돈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