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전남 무안 국제 공항의 세금 낭비가 심각한 상황이다.

부연설명

3059억원의 혈세로 지어진 전남 무안 국제 공항이 매년 심각한 수준의 적자를 내고 있다. 2022년 기준 전국 공항중 무안 국제공항이 5년 누적 적자 838억원으로 가장 손실액이 컸다. 그러나 정부의 포퓰리즘 정책으로 인해 이러한 ‘정치 공항’ 건설이 계속되고 있다. 2019년 정부는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대상 사업으로 새만금국제공항 사업을 선정했다. 불과 100km 거리에 이용객이 없어 적자를 내는 무안공항이 있는데 또 다른 국제공항을 건설하기로 한 것이다.

위치

58533

전남 무안군 망운면 공항로 970-260 (피서리, 무안국제공항) 무안 국제 공항

구성원
  • 이름주은영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한국공항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2017년∼2022년 6월 기준) 전국 공항 당기순이익 현황'에 따르면, 무안국제공항이 누적 적자 838억 6100만 원을 기록해 가장 손실액이 컸다.

근거2

연간 수용 능력 대비 연간 운항 실적을 나타내는 ‘시설 활용률’을 보면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았던 2020년의 경우 무안, 포항, 사천, 군산, 원주 등 공항 5곳의 활주로 활용률은 1%를 넘지 못했다.

근거3

무안국제공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2년 4개월여만인 지난 7월 국제선 운항이 재개됐지만, 채 2달을 채우지 못하고 다시 운항이 중단됐다. 항공사들과 면담한 전남도는 여름 휴가철 수요 감소와 함께 코로나19 재확산이 항공사들이 다시 국제선 운항을 멈춘 배경이 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근거4

국토부는 2028년까지 건설을 완료하고 시험운항 등 준비 절차를 거쳐 2029년에 새만금국제공항을 개항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