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나주혁신도시 교육여견의 해결이 필요하다

부연설명

나주혁신도시 교육여견의 해결이 필요하다
나주 빛가람혁신도시의 초등학교 4곳과 중학교 3곳에 2020~2022년 전입한 학생은 1281명(초등학교 1042명·중학교 239명)에 달한다.
이와 같이 낮은 교육환경은 자녀와 이주를 해야하는 가족들에게는 나주에 정착하기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위치

58290

전남 나주시 공산면 공산로 85 (금곡리, 공산초등학교) 1

구성원
  • 이름심세하
해시태그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30~40대 직원의 이주를 막는 또 다른 이유는 부실한 교육 여건이다. 빛가람혁신도시의 초등학교 4곳과 중학교 3곳에 2020~2022년 전입한 학생은 1281명(초등학교 1042명·중학교 239명)에 달한다. 혁신도시 학급편성 기준(초등학교 24~29명·중학교 24~28명)에 따르면 초등학교 36~43개 교실, 중학교는 9~10개의 교실을 추가로 만들어야 하는 규모다.

근거2

전남도의회 교육위원회 이민준 의원(더불어민주당ㆍ나주1, 사진)은 지난 4일 열린 전남교육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다른 혁신도시들과 비교해 나주혁신도시는 당초 계획과 달리 인구수와 지역발전 측면에서 부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교육환경이 충분히 갖춰지지 않은 것이 큰 문제"라며 "이로 인해 인접한 광주시에 교육수요를 뺏기는 경우도 많음에도 불구하고 전라남도교육청이 혁신도시 교육에 조금 미온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출처 : 호남교육신문(http://www.ihopenews.com)

근거3

인근 초등학교는 밀려드는 학생들로 인해 골머리를 앓고 있고, 반대로 학년이 높아지는 중·고교는 학생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이 수 년째 반복되고 있다.

당장 결혼하고 아이를 낳은 젊은 부부들이 늘면서 초등학교에 보내는 사례가 늘지만 대학이란 궁극적 목적을 위해 이후 학년 진학은 보다 환경이 좋은 타 지역으로 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당초 혁신도시 ‘정주인구 5만명’ 목표 실패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출처 : 남도일보(http://www.namdonews.com)

근거4

[앵커멘트]
콩나물 교실이라는 단어, 들어보셨을 겁니다.

좁은 교실에 학생들이 꽉 차 있는 모습이 콩나물 시루를 떠올리게 해서 붙은 말인데,
과밀 학급의 다른 표현입니다.

이 학급의 과밀화는 빛가람 혁신도시의 학교에선 커다란 골칫덩이가 된 지 오랩니다.

조희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빛가람 혁신도시 초등학교의 전체 학급 당 학생 수 비율은 평균 24명.

광주시를 비롯한 인근 대도시에 있는 초등학교 상당수가 학급 당 평균 20명 안팎인 것과 비교하면 무척 많은 수준입니다.

문제는 이제 시작입니다.

당장 10월부터 1천500세대 아파트에서 입주가 시작되고, 부영CC 부지에 대규모 주택 단지 조성도 예정돼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학생들이 새로 들어올 일만 남았다는 겁니다.

▶ 이재태 / 전남도의원
"최근 3년간 (광주·전남 공동) 혁신도시로 전입한 초·중학생 수가 1,280여 명입니다. 이걸 학교 과밀 학급 기준으로 본다면 초등학교 같은 경우는 약 40학급이 더 필요한 경우가 되고요. 중학교는 10개 학급이 추가로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전남도교육청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학생 수 조절'과 '교실 증축'을 선택했습니다. 교육부의 지침 탓에 새 학교를 지을 순 없으니 학생 수를 제한하거나 기존의 학교 안에 교실을 더 늘리는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