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시는 대중교통 인프라가 부족하여 대중 교통의 절대적 수가 부족하며 구도심과 신도심을 연결하는 버스의 수가까지 부족하다. 그리고 기존의 버스 노선이 대부분 구도심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다.
근거2
나주의 신도심 주변에는 대부분 논과 밭이 차지하고 있다. 농촌의 비료와 축산 악취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한전 본사가 있는 나주 한전 본사에서는 악취로 인해 창문을 열기 어렵다고 어려움을 표현했다. 이것이 공기가 안 좋다는 주민들의 생각으로 이어져 나주 시장이 해결하려는 공략으로 주장했다.
근거3
현재 나주 SRF 발전소에서 나오는 원료 폐기물로 인하여 주민들이 피해를 입고 있다. 빛가람동에 거주하는 어린이들이 해당 물질에 노출되어 피부병에 걸리거나 아토피에 걸리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근거4
구도심과 신도심이 분명하게 갈려져 현재 구도심의 쇠태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이다. 그렇지만 구도심의 인구 빠져 나갔음에도 불구하고 나주 혁신 도시의 상가 공실률이 높다는 것이 쟁점이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