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1. 북한과 남한의 전쟁종결이 이뤄지지 않아 시장진출 불안요소
2. 식문화, 언어문화적 차이가 점차 커져 소통적 어려움
3. 북의 정책이 한류문화를 법적으로 금지하여 전파의 어려움

부연설명

1-1. 70년간의 대치로 인한 진출의 어려움
1-2. 종전 시도는 있으나 이뤄지지 않음
2-1. 언어 문화의 격차가 점차 커져 의사소통의 어려움
2-2. 북한의 식문화는 한국으로 전파되나 반대로의 경우 크게 전파되지 않음
3-1. 한류가 청년층을 대상으로 꾸준히 전파되고 있으나 법적 제재로 인한 어려움

위치

10800

경기 파주시 진서면 통일로 3301 (선적리) 북한

구성원
  • 이름이수원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70여년째 ‘종전 없는 한반도’… 초장기 남북 대치 언제 끝날까 [박수찬의 軍](뉴스기사)
한국전쟁 72주년…與 “튼튼한 국방력” 野 “최고의 안보는 평화”(뉴스기사)
유엔사 "DMZ 전방부대 정전협정 준수 여부 점검"(뉴스기사)

근거2

통일전망대 [북한말 한마디] '멍하게'의 북한말은?(뉴스기사)
[새책] 남한과 북한의 의료용어 차이는?(뉴스기사)
“북한의 식문화, 공유하면 더 친해질 수 있어요”(뉴스기사)
음식으로 보는 북한의 설(뉴스기사)

근거3

혁명보단 한류!...북한, 청년들에게 평양말 사용 거듭 촉구(뉴스기사)
“한류 드라마 통해 한국 잘 아는 북한 청년들, 한국 동경해”(뉴스기사)
북한 당국은 ‘한류’ 막을 수 있을까(뉴스기사)
"케이팝은 암"…김정은, 청년 옷차림에 문화까지 통제(뉴스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