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해결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간이역을 이용한 문화도시로의 이행

부연설명

로컬실록지리지 사용 이해를 돕기위해 지역활성화 과제 '썸썸프로젝트 IN 충주'를 재구성 하였습니다.

원본 게시물은 소식 - 기관별자료 및 출처1을 통해 이동 가능합니다.

위치

27433

충북 충주시 목수1길 13-10 (목행동) 목행역

구성원
  • 이름썸썸프로젝트 IN 충주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방치되고 있는 간이역을 문화콘텐츠를 통해 활성화하여 문화도시로서의 충주 특성 부여, 문화예술업계 종사자 또한 상생가능

- 달천역은 인프라 및 부대시설 형성 부족으로 인한 접근성 및 문화교육 관심도가 낮은 상태
- 목행역 역시 2010년 이후 열차가 정차하지 않으며 공간활용 없이 방치되어 있다.
- 달천역>목행역>삼탄역 으로 이어지는 인프라 구성을 통해 문화체험 콘텐츠 기획을 제안함
- 3개의 역을 셔틀버스 운행, 촬영 기념품 충주3컷, 30% 패키지 할인을 통해 연결한다

근거2

간이역 활성화 방안 및 계획
[달천역]
- 기존의 다회성 문화체험을 원데이 클래스 방식으로 체험 운영화
- 캠핑 여행객을 타겟으로 캠핑용품 제작 후 바로 충주에서 사용가능하다는 것을 중점으로 홍보
- 충주시에 거주 혹은 사업을 진행하는 문화예술계 종사자 고용

[목행역]
- 독립영화상영관 '목행시네마' 운영
- 충주시에서 열리는 영화제 입상작들에 한하여 상영

[삼탄역]
- 수명이 다한 기차를 리모델링하여 숙소로 사용
- 전국에 하나뿐인 기차 캠핑장을 차별화 된 광광지로 활용

근거3

기대효과

- 충주 지역 내의 관광 명소 활성화(유입 인구의 증가로 지역 내 역사 유적지 및 관광 명소도 함께 재조명)
- 패키지 사업 활성화로 인한 인구 유입 증가에 따라 수익 증가 및 창출
-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 관광지를 개발, 충주 내 지역적 특색 강황
- 문화 예술 발점, 문화인 경제구조 구축
- 문화 관련 인프라 조성을 통한 지역적 가치 창출 및 지역 콘셉트 형성
- 지역 내 일자리 창출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