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해결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카레일 시스템을 통한 목행역 개발 및 프로그램 제안

부연설명

로컬실록지리지 사용 이해를 돕기위해 지역활성화 과제 '썸썸프로젝트 IN 충주'를 재구성 하였습니다.

원본 게시물은 소식 - 기관별자료 및 출처1을 통해 이동 가능합니다.

위치

27433

충북 충주시 목수1길 13-10 (목행동) 목행역

구성원
  • 이름썸썸프로젝트 IN 충주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개발동기 및 문제 발견

- 코로나로 인항 비대면 사회에서 '차박'의 인기가 주목됨
- 충주 내 차박장소(수주팔보으 목계나루 등)는 많지만 충북지역 차박 패키지 구매 여건 부족
- 차박 초보자 위한 차박패키지 필요성
- 카레일 방식을 도입, 목행역 활성화 및 충주를 차박에 적합한 도시로 탈바꿈

근거2

카레일 시스템 소개

- 기차에 자동차를 싣고, 기차를 타며 이동하는 여행방식
- 장시간 운전에서 해방되고 교통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는 다는 장점이 있음
- 2021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아직 시도되지 않는 분야로, 희소성 마케팅에 적합함

근거3

기대효과

[목행역, 목행동]
- 자동차 크기에 따라 5~10만원 이용수익 증가
- 카레일 멤버식 구축을 통한 재방문율 증가 기대
- 사과테마카페를 운영하여 역내 소비 활성화 및 지역 경제발전, 특산물 홍보 효과 기대
- 탄금대 및 목행역 관광객 수 즐가
- 자전거 대여를 통한 수익창출효과

[충주 지역 활성화]
- 차박패키지를 통해 차박 입문자도 쉽게 이용가능
- 차박을 통해 유입된 관광소비 증가
- 목행역내 사진부스 이용시 나오는 사진을 쿠폰으로, 주변 관광지 할인을 유도하여 주변 관광지 활성화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