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해결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1. 정권교체 및 정책변경에 따른 사업의 실현 가능성이 생김
2. 북한 내 한류에 관심을 가지는 청년층의 증가에 따라 북한에서도 더 이상은 문화전파를 억압할 수 없는 시기가 올 것
3. 북한 내 변화가 시작됨에 따라 콘텐츠 교류사업이 문화적 차이를 좁히는 것에 큰 기여를 할 것

부연설명

1-1. 정책의 방향성에 따른 교류사업 재개 시 사업 실현, 시장개척 가능성 확대
2-1. 북한 내제한 환경에서의 한류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늘어감
2-2. 세계적 한류 콘텐츠산업이 확대됨에 따라 북한 정책의 변화가 기대됨
3-1. 북한 내 콘텐츠 산업에 변화의 조짐이 있음.
3-2. 북한 경제의 변화와 다양성을 보여주는 증거가 나타남

위치

10800

경기 파주시 진서면 통일로 3301 (선적리) 북한

구성원
  • 이름이수원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남북교류협력 현황(통일부)
[북한정론] 김정은 對 윤석열(Ⅳ): 북한체제 변화를 위한 5化 전략(뉴스기사)

근거2

[북한정론] 한류(韓流) 차단을 노린 ‘악법 3종세트’(뉴스기사)
한류 열풍 그 이상... 21년 일본 살면서 이런 건 처음(뉴스기사)
유럽 최대 규모 야외 음악축제서 ‘한류 축제’ 열린다(뉴스기사)
글로벌 위상 높아진 K-콘텐츠…“문화가 힘이다” [현장에서](뉴스기사)

근거3

북한 연예계 세대교체 예고…6년만의 신작영화에 신인 발탁(뉴스기사)
코로나 봉쇄 2년, 북한 경제 실상을 알아내는 또다른 방법(뉴스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