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1.북한의 개발되지 않은 자연경관과 풍경들은 무궁무진한 관광경제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2. 남북간의 휴전협정으로 인한 여파로 향후 사업진행시 사업의 안정성측면에서 불안요소가 많다.
3. 남한의 트래킹족의 수가 날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부연설명

1-1 김정은 위원장은 2014년 노동당 중앙위원회 담화에서 “우리나라의 우수한 물질유산과 비물질유산, 자연유산들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하기 위한 활동을 계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2 칠보산과 금강산이 2014년과 2018년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평안남도 문덕과 함경북도 라선은 2018년 북한의 람사르협약* 가입과 함께 람사르습지로 지정되었다.
1-3 2019년 「노동신문」은 “여러 나라의 명승지들이 세계생물권보호구, 세계유산, 세계지질공원, 세계해양공원 등으로 등록되며 수많은 관광객들이 생태관광을 하기 위해 그곳을 찾아가고” 있다는 소식을 전하며, 세계 관광 수입의 약 20%에 육박하는 생태관광이 북한 경제의 자립을 위한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 바 있다.

2-1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면서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지난 2016년 2월 우리 정부의 긴급철수 명령을 받고 자리를 떠야만 했기 때문이다. 뒤이어 지난 2020년 6월16일엔 남북공동연락사무소까지 폭파됐다.
2-2 공단 폐쇄 장기화로 입주기업들의 피해가 크다. 해마다 휴·폐업 수가 늘고 있는 상태이다.
2-3 한국 위협을 위한 무력시위 방안을 찾기가 마땅찮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북한이 개성공단 시설 철거 등 비군사적 위협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3-1 코로나 시대에 접어들면서 여행을 즐기면서도 다른 사람들과의 거리 유지가 가능한 캠핑 산업이 급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3-2 한국무역통계진흥원에 따르면 국내 캠핑인구 규모는 2016년 500만 명, 2019년 600만 명을 기록한 데 이어 지난 해에는 70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된다.
3-3 한국무역통계진흥원에 따르면 2016년 500만명, 2019년 600만명이던 국내 캠핑인구는 지난해 700만명을 넘어섰다. 전국 캠핑장은 2018년 1900개에서 지난해 2850개로 증가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마니아의 전유물이던 캠핑이 우리 일상으로 지평을 넓히고 있는 것이다.

위치

10800

경기 파주시 진서면 통일로 3301 (선적리) 북한

구성원
  • 이름김강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북한의 자연유산이 움직이고 있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Written by 김명신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선임전문관

DMZ가 만들어 낸 비밀의 정원, 철원의 재발견(여행스케치 신문기사)

[만나고 싶은 북한동물] 불곰·우는 토끼…희귀한 북녘땅 동물지도(인천일보)

북한, 해외기구와 환경분야 협력 단체 만들어(연합뉴스)

근거2

불꺼진 개성공단 ‘휴·폐업 30곳’… 희망도 꺼졌다. 이연우 기자 27yw@kyeonggi.com(경기일보)

ICBM 쏘던 北, 대남 위협…개성공단 시설 철거 가능성(연합뉴스)

개성공단, 닫힌 문 언제 다시 열릴까(아시아경제)

[개성공단 폐쇄 6년] "빨리 포기하지 못한 게 한" … 그들에겐 희망고문 6년 이었다(내일신문)

근거3


코로나 시대 '캠핑족' 증가…1년에 5번 떠난다 (뉴시스)

일상회복에 '캠핑족'도 기지개…"700만 캠핑족 잡아라"(신문기사)

일상이 된 캠핑…700만명이 푹 빠졌다(신문기사)

'대한민국 캠핑대전' 10만명 방문…2년 연속 대박 행진(신문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