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해결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1. 남북한이 통일하였을 때 생활양식이 다르다면 갈등이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친환경을 목표로 남북한이 생활양식을 통일해야한다.
2. 기존의 플라스틱 포장재는 처리 과정에서 환경파괴적이다.
3.기존의 생분해 플라스틱 또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으며, 포장재로써 부적합하다.

부연설명

1-1 분리수거 및 쓰레기 배출에서의 갈등은 현재 지역사회의 문제이기도 하다
2-1 플라스틱은 안정한 물질이어서 잘 분해되지 않으며 고분자 인공 화합물이기 때문에 자연에는 플라스틱을 분해할 수 있는 생물이 별로 없다.
2-2 플라스틱을 처리하는 대표적인 방법인 매립은 토양오염과 매립지 고갈이라는 문제를 안고 있으며, 바다에 방류할 경우 미세플라스틱 및 쓰레기 섬 생성으로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친다.
2-3 플라스틱을 소각할 경우, 질소, 염소 산화물이 대기를 오염시킨다.

위치

10800

경기 파주시 진서면 통일로 3301 (선적리) 북한

구성원
  • 팀명

    크루 스텔지아

  • 팀장

    최재하

  • 팀원

    최재하

해시태그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환경탐구생활]⑤ 늘어가는 폐기물에 심화하는 갈등…소통·보상 통한 동의필요

근거2

-[쓰레기 대란]① "쓰레기 버릴 곳 없어"…10년 내 '쓰레기 대란' 온다
-[신음하는 바다] ④ 스티로폼 분해 시간 500년, 낚싯줄 무려 600년
-[쓰레기] 플라스틱 폐기물의 소각
-미세플라스틱의 해양 생태계에 대한 영향과 향후 연구 방향

근거3

-생분해 플라스틱 정말 친환경적? “생각만큼 분해 잘 안되네”
-환경부도 '난감'... 생분해 플라스틱 한국 상황 A to Z
-생분해 플라스틱은 생태계 구원자가 될 수 있을까 / 한국일보
-생분해, 산화생분해,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의 세계 주요 국가 인증마크 및 규격기준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