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남북한이 통일하였을 때 생활양식이 다르다면 갈등이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친환경을 목표로 남북한이 생활양식을 통일해야한다.
2. 기존의 플라스틱 포장재는 처리 과정에서 환경파괴적이다.
3.기존의 생분해 플라스틱 또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으며, 포장재로써 부적합하다.
부연설명
1-1 분리수거 및 쓰레기 배출에서의 갈등은 현재 지역사회의 문제이기도 하다
2-1 플라스틱은 안정한 물질이어서 잘 분해되지 않으며 고분자 인공 화합물이기 때문에 자연에는 플라스틱을 분해할 수 있는 생물이 별로 없다.
2-2 플라스틱을 처리하는 대표적인 방법인 매립은 토양오염과 매립지 고갈이라는 문제를 안고 있으며, 바다에 방류할 경우 미세플라스틱 및 쓰레기 섬 생성으로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친다.
2-3 플라스틱을 소각할 경우, 질소, 염소 산화물이 대기를 오염시킨다.
-[쓰레기 대란]① "쓰레기 버릴 곳 없어"…10년 내 '쓰레기 대란' 온다
-[신음하는 바다] ④ 스티로폼 분해 시간 500년, 낚싯줄 무려 600년
-[쓰레기] 플라스틱 폐기물의 소각
-미세플라스틱의 해양 생태계에 대한 영향과 향후 연구 방향
근거3
-생분해 플라스틱 정말 친환경적? “생각만큼 분해 잘 안되네”
-환경부도 '난감'... 생분해 플라스틱 한국 상황 A to Z
-생분해 플라스틱은 생태계 구원자가 될 수 있을까 / 한국일보
-생분해, 산화생분해,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의 세계 주요 국가 인증마크 및 규격기준 동향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