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진행한 충청남도 사회조사에서 구도심활성화를 주제로 할 정도로, 이미 천안 구도심의 쇠퇴는 공식화되고 공공 차원에서 인지하고 있는 문제다.
근거2
[전주 구도심 활성화 사례: 전자 한옥마을]
도심 공동화 현상으로 낙후했던 전주 구도심이 문화예술관광 거리로 발 빠르게 변신하고 있다.
한옥마을을 찾는 관광객의 발길이 인근 풍남문과 남부시장, 오목교, 국립무형유산원, 서학동예술촌을 넘어 영화의거리, 객리단길, 동문거리 등으로 뻗어 나가고 있다.
한옥마을 관광객 1천만 명 도래를 계기로 관광 효과가 구도심 전역으로 확산하는 양상이다.
실제로 구도심 일대에 대형 호텔 등 숙박업소 건축 인허가 건이 늘고 있는 것이 이를 잘 방증한다.
지난해 FIFA U-20월드컵 개최에 맞춰 고사동에 라마다호텔이 건축된 이후 2016년 이후 현재까지 건축 허가된 10층 이상의 호텔은 경원동 2곳(206객실·105객실)과 서노송동 1곳(249객실)에 이른다.
2016년 이후 한옥마을 일대에 들어선 일반음식점과 휴게음식점, 제과점 등을 합치면 식품접객업소도 총 43곳에 달한다.
한옥마을 관광객의 발길이 인근의 전라감영길과 객리단길, 영화의 거리, 걷고싶은 거리로 이어져 이들 지역에서의 상권도 다시 기지개를 켜고 있다.
전주시는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구도심 100만평(약 330만㎡)을 문화와 예술, 영화 등 다양한 색깔을 간직한 공간으로 만드는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근거3
- 분산되어 있는 호두과자 가게들
근거4
[위치] 주차장으로만 활용되고 있는 넓은 부지의 천안역 동부광장부터 일반 상가들로 채워진 지하상가 위쪽 거리
[컨셉] 천안 호두과장 캐릭터를 활용하여 포토존, 대형 조형물 배치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