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해결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의료인 수급이 어려워 폐쇄했던 거창군 응급의료시설을 원격진료 허브로 변경하면 의료 공백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부연설명

경남 거창군으로 대표되는 의료인력 수급이 어려운 지방 도시에 원격 진료 기술을 도입하여 의료공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디지털 접근성이 떨어지는 어르신 환자가 대다수인 상황을 고려해 재택 원격진료가 아닌 의료인 수급이 어려워 문닫은 기존 응급시설을 원격 진료 허브로 사용할 수 있다.

위치

50142

경남 거창군 거창읍 송정1길 24-13 (송정리, 서경병원) 응급실

구성원
  • 이름문석영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기존 지방 의료 공백 문제를 해결하던 방법은 남성 의사들의 군복무를 대신하는 공중보건의 제도였다. 하지만 급격한 인구감소와 함께 공중보건의의 숫자도 감소하여 2021년 의과 공보의는 전년보다 264명 감소한 478명에 불과했다.

근거2

보건복지부의 원격의료 확대로 의료사각지대 해소 추진 보도자료에 따르면 J군 ○○섬에 거주하는 박○○(54세)씨는 10년 전 당뇨병 진단을 받고 육지에 있는 병원을 다니고 있으나, 거리적 문제로 약만 처방받는 수준에 그침. 시범사업 참여 전에는 식전 혈당 수치가 170~180mg/dL이었으나, 시범사업 참여 후에는 화상 상담 등을 통해 상시적으로 혈당을 관리받게 되어 최근에는 120mg/dL까지 조절되고 있음
2. 군 원격의료를 통해 40개 격오지 부대 장병 약 2,000명이 적시에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63개 격오지 부대로 확대하여 군 장병 의료복지 실현에 기여할 계획이다. 
* 병사의 90%가 군 원격의료에 만족하였으며, 간부의 87%가 지휘 부담이 경감되었다고 답변

근거3

시장조사기업 IBIS World에 따르면 미국의 원격 의료 서비스 시장은 지난 5년간 연평균 34.7%의 폭발적 성장을 지속해 2019년 시장 규모가 24억 달러에 이른 것으로 분석
    - 통신 및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웨어러블 모니터링 장치, 디지털화된 의료용 이미지 등이 개발되며 원격 의료 서비스 시장의 성장을 촉진
    - 막대한 의료비용, 의료 서비스 인력 부족, 만성질환을 겪는 고령인구의 증가 등 미국 헬스케어 시스템의 문제 해결을 위해 원격 의료 서비스가 더욱 주목받고 있음.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