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해결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수질 오염 문제로 방문객이 끊긴 부산 다대포 해수욕장 리브랜딩으로 관광객을 유치한다.

부연설명

다대포해수욕장은 구 해수욕장의 깨끗한 바다, 신 해수욕장 인근 횟집, 꼼장어집, 몰운대 공원, 낙조분수 등의 뛰어난 관광자원을 가지고 있다. 이를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사람들의 잘못된 인식을 바로 잡아야 한다.

다대포 해수욕장은 낙동강과 인접한 신 해수욕장과 동해바다와 맡닿은 구 해수욕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신 해욕장의 경우 낙동강에서 흘러내려온 독성 물질로 인해 낙동강과 연결된 해수욕장인 다대포 해수욕장의 수질이 나빠졌다는 인식이 있다. 하지만 최근의 조사 결과로 미루어보았을 때 다대포 해수욕장은 수질이 나쁘지 않으며, 구 해수욕장의 경우 강과 맡닿아 있지 않아 다른 해수욕장보다 상대적으로 깨끗한데도 잘못된 인식이 박혀 있는 까닭에 주변 상인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

위치

49506

부산 사하구 다대로 지하 692 (다대동, 다대포해수욕장역) 다대포해수욕장

구성원
  • 이름김찬호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자료 1]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은 해수욕장 5곳(다대포, 송도, 광안리, 일광, 임랑)의 수질과 모래를 조사한 결과 수질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다대포해수욕장의 수질은 실제로는 양호하다.

하지만 출처의 [자료 2]에서 나타난 녹조 가득 낀 다대포해수욕장은 과거의 사진이지만 2022년 현재에도 '부산 다대포 해수욕장 근황 ㄷㄷ..jpg'이라는 이름으로 잘못된 정보가 퍼져나가고 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