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해결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경기도 안성시의 고령화 문제가 깊어지고 있다. 따라서 고령화 문제를 돌파할 해결책을 통해 문제를 완화할 수 있을 것이다.

부연설명

안성시는 2020년 기준, 지방소멸 ‘주의’ 단계에 접어들었다. 안성시는 도농복합도시이며, 인구가 소폭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도시와 농촌을 나누어 고령화 문제를 분석함과 동시에 그 격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한다. 또 도시와 농촌이 공존한다는 점을 활용하여 문제 해결 포인트를 찾아야 한다. 이에따라 고령화에 대한 돌파구를 찾아 문제를 해결해나가야할 것이다.

위치

06974

서울 동작구 흑석로 84 (흑석동, 중앙대학교) 경영경제대학

구성원
  • 이름이재진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경기도 안성시는 2020년 기준, 지방 소명 '주의' 단계에 접어들었다.

■ 2010년 이후 안성시 총인구는 증가와 감소를 반복해 2019년까지 3.07% 상승했으며 2019년 기준 183,405명을 기록함
■ 안성시의 지난 9년간 고령 인구 증가 속도(35.13%)는 경기도 31개 시⋅군 중 22위, 2019년 기준 고령 인구 비율(16.75%)은 7위를 기록함
■ 2019년 기준 고령화 정도가 31개 시⋅군 중 하위에 속해 상대적으로 고령화가 덜 진행된 상태라고 하더라도 고령화가 진행되는 속도가 빠르다면 해당 지역의 고령화 정도는 단기간 내에 급격히 상승할 가능성이 있음■ 도농복합시 중 포천시(121.03%)에서 가파르게 노령화지수가 상승하고 양주시(96.54%), 용인 시(92.94%), 여주시(92.13%)도 경기도 전체 상승률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인 데 비해 안성시 (80.64%) 등 나머지 8개 시는 경기도 평균 이하를 나타냄

근거2

안성시의 고령화 수준을 감안할 때, 안성시는 시설⋅재가 복지나 공공형 일자리 사업에 집중하는 대신 더욱 적극적으로 고령 인구의 활동성을 향상시킬 추가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고령화를 잡는데 더 효과적일 것이다. 안성시가 확대할만한 사업은 마을 주민이 공동으로 물건을 생산하는 마을 공동형 노인 일자리 사업인데 고령 인구뿐만 아니라 젊은 층이나 기업과도 연계해 여기에서 일하는 고령 인구의 활동 폭을 넓힐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근거3

젊은 층 유입으로 인해 지역이 갖는 이점을 고려할 때 안성시는 이들을 대상으로 한 정책을 고려할 수 있다. 안성시에는 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를 비롯하여 한경대학교,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두원공과대 학교 안성캠퍼스 총 4개의 대학이 있어 안성시가 타 시⋅군에 비해 고등교육기관을 다수 보유 한다고 볼 수 있다. 젊은 층을 유입할만한 매력적인 근로 환경과 편안한 주거 환경을 조성하고, 이들이 졸업, 결혼, 출산 후에도 오랜 기간 안성시에 머무를 수 있도록 하는 유인을 제공해야 함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